![](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AA.36553855.1.jpg)
문제는 캠코 역시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이다. 소상공인·자영업자 채무조정 프로그램인 새출발기금을 운영하면서 대부분 재원을 소진했기 때문이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캠코는 올해 1분기 8000억원 규모 공사채를 발행했다. 지난해 연간 공사채 발행액의 40.5%를 한 분기 만에 채웠다. 2021년(1조원)과 2022년(1조1100억원) 연간 발행액과 맞먹는 수준이다. 시장에서는 캠코가 2분기 이후 공사채 발행 규모를 더 늘릴 것으로 보고 있다.
PF 위기 관련 공사채 발행이 증가하는 것은 캠코만이 아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도 올해 정관을 변경해 공사채 발행 근거를 마련했다. 기존에는 직접 채권 발행이 불가능했지만 이제 직접 공사채를 발행할 수 있게 됐다. HUG 역시 부동산 PF 연착륙을 위한 구조조정 과정에서 각종 지원 방안을 내놓고 있다. 전체 공사채 만기 물량은 지난 1분기 월별 2조~3조원대에서 2분기에는 4조~5조원대로 확대된다.
시장에서는 공사채가 민간기업의 회사채 수요를 빨아들이는 ‘구축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초우량 신용등급(AAA)을 갖춘 캠코 등이 채권을 발행하면 공사채 금리가 올라가고, 단계적으로 은행이나 일반 기업의 자금 조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레고랜드 사태가 발생한 2022년 말에는 한국전력 채권이 시장 자금 경색의 주범으로 몰리기도 했다. 현재 채권시장은 유동성이 많아 당장 큰 문제는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동발 지정학적 리스크와 인플레이션 장기화로 금리가 다시 튀어 오르는 점은 변수로 꼽힌다.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연초 연 3.8%대에서 지난 26일 연 4.6%대로 치솟았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리 상승 국면에서 캠코채 발행 확대 등으로 수급 부담이 커지면 채권시장이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