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의 합의가 곧바로 한국에도 적용되는 건 아니지만 결국 우리에게도 석탄발전 중단 압력이 거세게 몰아닥칠 것임은 명약관화다. 국내에는 총 58기의 석탄발전기가 가동 중이고 총발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기준 39.7%에 달한다. 올해는 원전 비중이 30%대 초반으로 상승하고 석탄은 20%대 후반으로 하락해 역전될 것이라는 전망이지만 여전히 발전 에너지원 중 상당한 비중이다. 석탄발전을 대폭 축소하거나 중단하려면 원전 비중을 높이는 것 외에는 현실적으로 다른 대안이 없다. 한국은 국토 환경의 제약으로 태양광이나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늘리는 데 한계가 뚜렷하기 때문이다. 미국도 28년 만의 새 원전인 조지아주 보글 4호기가 상업용 가동에 들어갔다. 지난해 발전을 시작한 3호기에 이어서다.
이 와중에 원전업계는 정부가 준비하고 있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에 담길 신규 원전이 몇 기가 될지 숨죽이며 지켜보고 있다. 4기 안팎 추가를 기대했는데 총선 후폭풍으로 크게 줄어들까 염려하는 것이다. 정부가 정치권 눈치를 볼 일도 아니고 야당 역시 더 이상 탈원전의 환상에 사로잡혀 원전 확대를 가로막아서도 안 된다. 여야가 우여곡절 끝에 합의에 이른 고준위방폐물관리특별법 역시 저장 용량을 줄여야 한다는 야당 의원 한 명에게 발목이 잡혀 있다. 신규 원전 건설은 물론 기존 원전의 수명 연장도 막겠다는 의도다. 21대 국회가 하루빨리 법안을 처리해 마지막 소임을 다하길 바란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