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4/AA.36573843.4.jpg)
AI 열풍으로 고용량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늘어난 덕분이다. 삼성전자는 올 1분기 고부가가치 HBM과 서버용 SSD 비중을 늘리며 판매량 확대보다 수익성 개선에 주력했다. 이에 따라 1분기 D램 출하량은 전분기 대비 10%대 중반, 낸드플래시는 한 자릿수 초반 줄었지만, 평균판매단가(ASP)는 D램이 20%, 낸드플래시는 30% 이상 상승했다.
올해 HBM 공급량을 비트(bit) 기준으로 작년보다 세 배 이상 늘리고, 내년에 또다시 두 배 이상 확대하기로 했다. 이달 양산에 들어간 5세대 HBM인 ‘HBM3E’ 8단 제품은 이르면 올 2분기부터 매출에 반영된다. HBM3E 12단 제품도 2분기에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고객사는 미국의 AI 가속기(데이터 학습·추론에 특화된 반도체 패키지) 전문업체 AMD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올 하반기 HBM3E 판매량 비중이 전체 HBM의 3분의 2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서버용 제품인 5세대 10나노미터(㎚·1㎚=10억분의 1m) 32Gb(기가비트) DDR5 기반 128기가바이트(GB) 제품도 이번 분기에 양산을 시작해 고객사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이 중 초대용량 서버용 쿼드러플레벨셀(QLC) 낸드플래시 기반 SSD의 올 하반기 판매량은 상반기 대비 세 배 수준으로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재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부사장은 “트레이닝(학습)과 인퍼런스(추론) 두 분야 모두에서 SSD 공급 요청이 급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부문은 지난 1분기 역대 최대 물량을 수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객사의 재고가 줄면서 2분기에는 전분기 대비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북미 지역 고객사를 늘리기 위해 2㎚ 공정 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김채연/황정수 기자 why29@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