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5/AA.36621659.1.jpg)
중국산 저가 제품과 관련해 미국이 대중국 압박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시 주석이 프랑스를 찾아 눈길을 끈다. 미국의 대중국 제재에 보조를 맞춰 EU 집행위도 중국산 전기차, 태양광 패널, 풍력터빈, 전동차, 의료기기 등에 대한 중국 정부의 보조금을 집중적으로 문제 삼고 있다. 유럽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작년 10월 반보조금 조사를 한 데 이어 유럽 주요 국가 입찰에 참여한 중국 기업을 대상으로 EU의 역외보조금 규정(FSR) 위반 조사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달 스페인 프랑스 그리스 루마니아 불가리아 등 풍력발전단지 개발사업에 참여한 중국 풍력터빈회사의 FSR 위반 조사에 들어간 게 대표적이다.
시 주석의 이번 유럽 방문은 미국이 주도하는 중국산 반보조금 규제 연대에 균열을 내려는 행보라는 해석이 많다. 유럽 국가들의 이해관계가 다르고, 중국 투자를 원하는 국가도 많은 만큼 국가별 맞춤 외교를 통해 문제 해결에 나서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충자이안 싱가포르국립대 교수는 시 주석의 유럽행에 대해 “중국 입장에 더 공감할 수 있다”며 “EU 회원국을 끌어들이려는 노력”이라고 설명했다.
EU의 주축인 프랑스는 중국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작년 4월 대규모 경제사절단과 함께 중국에서 시 주석을 만난 뒤 “대만 문제에 유럽이 휘말려선 안 된다” “유럽이 미국에 종속돼선 안 된다” 등의 발언으로 미·중 갈등 국면에서 중국에 힘을 실어줬다. 외교가에선 시 주석의 프랑스 방문을 계기로 중국이 코냑 등 프랑스산 브랜디 반덤핑 조사를 멈출 가능성이 제기된다. 코냑 반덤핑 조사는 EU의 중국산 전기차 반보조금 조사에 대한 맞불 성격 조치였다는 점에서 시 주석과 마크롱 대통령의 회담 결과에 따라 중국이 프랑스에 ‘선물’을 안겨줄 수도 있다.
세르비아와 헝가리 방문은 중국의 우호 세력 다지기 차원으로 볼 수 있다. 헝가리는 중국 일대일로 사업의 핵심 국가다. 시 주석은 헝가리에 일대일로 사업에서 혜택을 주는 대신 EU의 중국산 반보조금 정책을 차단하는 데 역할을 해주도록 요구할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전망했다.
베이징=이지훈 특파원 lizi@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