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5/AA.36619950.1.jpg)
고액 자산가들 사이에서 신종자본증권이 인기 투자처로 떠오르고 있다. 은행의 정기예금보다는 높은 금리를 받으면서 주식보다는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어서다. 최근엔 금융권을 중심으로 발행이 늘어 선택의 폭도 다양해졌다. 향후 금리가 하락하면 시세차익을 누릴 수 있다는 점도 투자 매력을 높이는 요인이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상장·비상장 기업이 발행한 신종자본증권은 총 5조9204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기업 별로는 4월 부산은행 1000억원, JB금융지주 1000억원, 신한은행 4000억원, 3월 기업은행 4000억원, 메리츠증권 2000억원 등 금융지주가 대거 발행했다.
신종자본증권은 만기가 없거나 통상 30년 이상으로 만기가 긴 채권과 주식의 성격을 동시에 지닌 상품이다. 5년 뒤 콜옵션(조기상환권)을 행사하는 게 일반적이다. 채권처럼 매년 확정된 이자를 받을 수 있고, 주식처럼 매매도 가능하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산정 시에 자본으로 인정하기 때문에 금융업계에서 자본 확충 수단으로 활용한다. 신용등급이 우량한 일부 기업들도 자금 조달을 위해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나서고 있다.
연내 기준금리가 하락하면 채권 가격이 오르는 만큼 신종자본증권 매매로 시세 차익을 누릴 수 있다. 신종자본증권의 매매 차익은 비과세가 적용된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신종자본증권은 만기와 금리가 확정돼 있으면서 적정한 수익률을 보장하는 구조로 설계돼 주식 시장 변동성이 커졌을 때 투자 매력이 더 높아진다”며 “현재 금리가 고점이라고 판단하는 투자자라면 연 4~5%대의 안정적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마지막 투자처’”라고 말했다.
신종자본증권은 일반적으로 원금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콜옵션 행사 시기를 만기일로 간주한다. 드물지만 발행사가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2009년 우리은행이 콜옵션 미행사를 결정한 사례가 있다. 2022년 흥국생명이 콜옵션 미행사를 결정했다가 번복하기도 했다. 콜옵션 행사를 미루면 투자자는 원금을 예정보다 늦게 회수하게 된다.
원금 손실 위험이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발행사가 부실 금융회사로 지정되거나 파산하면 이자는 물론 원금도 받지 못한다. 부실 금융회사 지정이 해제된다고 하더라도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다. 상품 설명서에도 신종자본증권이 원금 전액 손실이 가능한 ‘다소 높은 위험성’이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발행사가 금융권인 경우 부실 금융회사로 지정되거나 파산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보고 있다. 한 은행사 PB는 “원금 보장이 중요한 투자자는 사실상 파산 위험이 전무한 AA급 금융권 신종자본증권 위주로 접근하라”고 말했다.
이지효 기자 jhl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