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5/AA.36722887.4.jpg)
15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최근 GV90를 포함한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 적용 계획이 담긴 견적요청서(RFQ)를 주요 자동차 협력사에 보냈다.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은 ‘eM’으로도 알려졌다. 견적요청서 등에 명시된 각 차종의 연간 생산 예정 물량은 △GV90 2만1000대 △GV80 6만8000대 △GV70 4만 대 △G80 5만1000대가량이다. 현대차는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을 적용한 제네시스 프리미엄 4개 차종을 내년 12월부터 2033년까지 총 113만2000대 생산해 판매할 계획이다.
핵심은 GV90다. 현대차는 지난 3월 미국 뉴욕에서 전장 5.25m의 대형 전기 SUV 네오룬 콘셉트카(사진)를 선보였다. GV90는 이를 기반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전기를 100% 동력원으로 쓰는 대형 SUV를 내놓은 완성차 업체는 없다. 테슬라X도 준대형 SUV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대형 전기 SUV는 전기차 및 배터리 기술력을 입증할 수 있는 끝판왕”이라며 “전기차 및 배터리 세계 1위인 중국의 전기차 제조사들도 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고 말했다.
현대차의 한 협력사 대표는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은 차체를 구성하는 핵심 부품에 특수 합금을 이용한 일체형 주조 방식 등을 적용해 가벼우면서도 단단한 차체를 제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구조적 강성 확보와 함께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의 또 다른 특징은 ‘확장성’이다. 소형부터 초대형, 나아가 트럭과 같은 상용차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확장성이 가능한 기술력은 ‘모듈화’다. 현대차그룹은 총 86개 모듈러 시스템을 선행 개발했다. 레고 블록처럼 차급 구분 없이 활용할 수 있어 빠른 신차 개발이 가능하다.
주요 부품을 대량 생산한 뒤 다양한 차종에 적용하면서 원가 절감 효과도 커졌다. 현대차그룹은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을 적용한 모델은 기존 동일 차종 대비 20% 이상 원가 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 열관리 시스템을 적용해 배터리 에너지 효율도 기존 대비 50%가량 높였다. 차급과 사용 목적, 소비자 선호에 따라 다양한 배터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의 특징이다. 중저가 모델엔 삼원계(NCM) 배터리뿐 아니라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도 장착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2030년 글로벌 시장에서 전기차 200만 대를 판매하겠다는 중장기 목표를 세운 바 있다.
김진원 기자 jin1@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