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 의원이 이긴 배경이 무엇이든, 그 역시 국회의장의 제1 책무인 균형자, 조정자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에 우려가 이는 것도 사실이다. 국회법에 ‘국회의장은 국회를 대표한다’ ‘의장은 당적 보유를 금지한다’고 명기한 기본 취지는 여야가 다툴 때 의장이 한쪽 편을 들어 대결이 극단으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우 의원이 경선 과정과 후보 확정 뒤 내놓은 메시지들을 보면 국회의장으로서 갖춰야 할 기본적인 품격과 신뢰를 찾기 어렵다. “이재명 대표가 ‘형님이 딱 적격’이라고 했다” “이 대표와 가치 동반자”라고 하는 등 그도 줄곧 ‘명심팔이’에 매달렸다. 명색이 국가 의전 서열 2위 자리에 앉겠다는 중진이 당 대표의 낙점만 바라본 것은 스스로 위상을 떨어뜨린 것에 다름 아니다. 특히 당선되자마자 이 대표를 만나 “저는 아직 민주당 당원이고, 우리 모두가 민주당이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이 대표 중심으로, 저도 제게 맡겨진 업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언급한 대목은 심히 유감스럽다. “이 대표와 함께 꿈꿔온 ‘기본 사회’ 비전이 대한민국 미래가 될 수 있도록 국회의장으로서 지원을 아끼지 않을 생각”이라고도 했다. 국회의장 후보 당선인 입에서 나왔다고 믿기 어려울 정도의 내용이다.
우 의원은 ‘민심 존중’을 내세우지만, 총선에서 절반 가까이가 민주당을 찍지 않았다는 점도 새겨야 한다. 중재하고 타협을 이끌어내야 할 국회의장이 끝까지 특정 정파 꼭두각시를 자처하거나 특정 인물과 정치적 이해를 같이한다면 의회 민주주의는 파탄나고 말 것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