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 블룸버그인텔리전스(BI)에 따르면 한국은행 출신 권효성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재정 전망 보고서에서 현재 57%인 한국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2030년께 70%, 2045년 무렵 100%에 이르고 2050년쯤 120%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20년 안에 부채의 지속 가능성이 큰 걱정거리로 떠오를 것이라며 급격한 인구 고령화 및 저출산으로 인한 노동력 감소와 비용 증가를 이유로 꼽았다. 세금을 거둘 수 있는 경제활동 자체가 줄어들고 지출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정부부채는 국가채무(국채·차입금·국고채무부담행위)뿐 아니라 비영리 공공기관 부채까지 포함한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도 한국 정부부채 증가를 우려하는 보고서를 내놨다. IMF는 2019년 42.1%에 머무르던 한국 GDP 대비 정부부채 비중이 코로나19 대응을 거치며 2021년 51.3%로 처음 50%를 넘었다고 추정했다. 이 수치는 지난해 55.2%에 이어 올해 56.6%로 늘어나 2029년 59.4%에 이를 것이라고 IMF는 내다봤다. 다만 한국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일본(252.4%), 미국(122.1%), 독일(64.3%) 등 주요 7개국(G7)에 견줘 아직 낮은 수준이다. 보고서는 향후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에 영향을 미칠 최대 변수로 금리를 언급하며 기본 시나리오로 가정한 2%보다 1%포인트 더 오르면 이 수치가 2050년께 141%로 치솟을 수 있다고 봤다.
한국은행이 3.5% 고금리를 유지하는 가운데 이자 지급 비용은 2022년 GDP의 0.9%에서 지난해 1.4%로 늘어났다고 보고서는 추정했다. 이 비용은 장기 무위험 금리를 2% 수준으로 가정할 때 2050년 GDP의 2.4%로 올라갈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지난해 정부의 재정지출 감소율이 10.5%에 이르지만 감세와 세수 부진 등의 여파로 여전히 적자 상태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