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산 흑돼지인데, 제주도에선 먹을 수 없다니…"
최근 유명 온라인 커뮤니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선 제주산 돼지고기를 판매하는 한 TV홈쇼핑 프로그램의 방송화면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제주산 흑돼지 모듬세트를 할인된 가격에 특별 판매하면서 '제주 및 도서·산간 배송 불가'란 자막이 달린 걸 이상하게 여긴 네티즌들이 많았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5/01.36786102.1.jpg)
“제주산 흑돼지를 정작 제주도민은 값 싸게 즐기지 못 하는 게 황당하다”는 게 대체적인 반응이었다. 이 캡쳐 화면은 제주 일부 식당에서 기름이 가득한 돼지고기를 판매하면서 배짱영업을 하다가 사회적 파장이 커진 시점에 확산해 더 관심을 모았다.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건 상당량의 제주산 신선식품에 적용되는 독특한 유통 구조 때문이다. 돼지고기의 경우 흑돼지를 포함한 도내 돼지고기의 약 70%가 내륙으로 먼저 보내지고 있다는 게 지역 도매업자들의 설명이다. 특히 ‘1+’ 혹은 1등급인 고품질의 돼지고기는 내륙에 있는 홈쇼핑 등 대형 유통업체가 대부분 선점해 납품받고 있다.
높은 등급의 제주산 돼지고기가 육지로 먼저 나가기 때문에 현지에서 질 좋은 고기를 구하려면 웃돈을 주고 사 먹어야 하는 게 웃지 못 할 현실이란 얘기다. 현재 제주도 내 9곳의 흑돼지 전문 식당에 고기를 납품하고 있다는 40대 도매업자 김모씨는 "도내에서 판매되는 흑돼지는 가격이 결코 내륙보다 싸지 않다"며 "가격 경쟁력을 갖춰 제주도보다 더 싸게 흑돼지를 판매하는 육지 식당들도 많다"고 설명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5/01.36785999.1.jpg)
한 도내 양돈농가 관계자는 "백화점, 대형마트 등 대형 유통업체들이 도내 도매업자들보다 가져가는 물량이 훨씬 많다"며 "제주도에 있는 질 좋은 돼지고기 대부분은 내륙에 있는 유통업체들에 먼저 납품되는 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돼지고기뿐만 아니라 소고기 등 다른 품목도 사정이 비슷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제주도민이 홈쇼핑이나 인터넷을 통해 질 좋은 제주산 흑돼지를 구입하려면 비용을 추가로 내야 하는 일도 자주 발생한다.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 등록된 '제주산 흑돼지 모듬세트' 중 상당량은 제주도로 배송 시 3000~5000원의 추가 배송료가 붙는다. 내륙으로 나간 제주산 고기가 웃돈이 붙어 다시 제주로 돌아오는 셈이다.
고품질 고기의 비중이 작으니 흑돼지 가격이 원천적으로 비싸질 수 밖에 없다는 얘기다. 제주특별차지도에 따르면 제주산 흑돼지 1+ 등급의 비율은 전체의 11.1%로, 일반 돼지 20.7%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3년째 제주도에 거주하고 있는 20대 정모씨는 "처음 제주도에 왔을 때 흑돼지 가격이 생각보다 비싼 것을 보고 놀랐다. 요즘은 식당에선 아예 사 먹지 않는 편"이라며 "그나마 마트가 저렴한 편이긴 하지만, 서울에 있는 마트에서 파는 백돼지 가격과 큰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5/01.36787974.1.jpg)
일각에선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된 제주도 일부 식당의 '비계 고기' 논란도 이 같은 유통구조 때문에 벌어진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원가를 낮추기 위해 도내에서 납품을 받은 게 원인 아니냐는 추측이다. 이에 대해 제주특별자치도 농축산식품국 관계자는 "최근의 논란은 유통 과정에 원인이 있다기보다는 고기를 손질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성진우 한경닷컴 기자 politpeter@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