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이탈 석 달째를 맞는 전공의들이 정부에게 사직을 처리해달라고 촉구하고 있다. 정부가 사직 처리를 해주지 않으면서 일반의 개업까지 막고 있다는 불만이다.
전공의들은 정부가 이탈 전공의에 대한 면허 정지라는 '엄포'를 놓으면서도, 정작 전공의의 사직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모순이라고 질타했다.
사직 전공의 A 씨는 연합뉴스에 "정부는 '진짜 데드라인'이라면서 계속 복귀 시점을 강조하는데, '진짜'가 자꾸 번복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데드라인이 지났음을 인정하고, 전공의 사직서를 처리하면 될 것을 계속 끌고 있다"고 비판했다.
전공의 마지막 연차이지만 이번 사태로 사직서를 냈다는 B 씨는 "한 때는 나도 새벽에 출근하고 밤늦게 퇴근하면서 환자를 돌보는 사명감이 있었다"며 "그런데 이번에 '이렇게까지 욕을 먹는데 이것을 해야 하나'라는 회의가 들었다. 더 노력할수록 욕을 먹는 사회 같다"고 토로했다.
일부 전공의는 생활고로 인해 부업으로 내몰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B 씨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처음부터 생겼고, 이들은 지인을 통해서 의사 직군이 아닌 일을 구했다"며 "과외나 병원 행정직, 배송 알바 등을 하는 친구들이 있다"고 전했다.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공의 시급이 워낙 낮아서 이런 일자리가 (임금을) 더 높게 쳐준다"고 푸념했다.
이들은 정부가 제시하는 '전문의 중심 병원'에도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전공의 C 씨는 "지금도 대학병원이 겨우 굴러가는데, 월급이 전공의보다 더 많은 전문의, PA(진료보조) 간호사 등을 고용하고 전공의 근무 시간을 줄인다는 것 자체가 의료계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21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주요 수련병원 100곳을 기준으로 전날 출근한 전공의는 사흘간 31명 늘어난 659명으로, 전체 전공의(1만3000여명)의 5.1% 수준에 불과했다.
정부가 전공의 이탈 석 달째인 이달 20일을 복귀 시한으로 규정하고 이날까지 복귀해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고 밝혔지만, 대부분의 전공의는 돌아오지 않았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