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5/AA.36824413.1.jpg)
하지만 인기가 시들해지면서 최근에는 육군 ROTC를 운영하는 대학의 절반은 후보생 정원조차 채우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육군 학군단을 운영하는 전국 108개 대학 가운데 후보생이 정원에 미달한 학교는 54곳으로 집계됐다.
사라진 혜택과 병사 관리의 어려움, 병사 처우 개선 등이 ROTC 급감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김의식 용인대 군사학과 교수는“책임은 늘었는데 봉급과 혜택이 그대로여서 후보생 기간에 이탈하는 사례도 많다”고 말했다.
ROTC는 과거 공공기관·대기업 채용 시 가산점이나 특별채용 등이 주어져 인기가 높았지만 기업들이 혜택을 점점 줄이면서 이점이 사라졌다. ROTC 출신 중위 홍모씨는 “장기 복무할 생각이 없다면 취업 준비와 진로 고민에 쓸 시간을 희생하는 것이 아깝다는 인식이 많다”고 전했다.
정희원/박시온 기자 toph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