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6/01.36977413.1.jpg)
달콤한 아이스크림이 담긴 분홍색 블록팩과 스푼. ‘배스킨라빈스’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이미지다. 요즈음 배스킨라빈스 매장을 가보면 이 같은 플라스틱 소모품을 찾아보기 어렵다. 대신 재생 용지로 만든 종이 상자와 나무 소재 스푼이 빈 자리를 메웠다.
배스킨라빈스의 이런 ‘친환경 전환’을 이끈 건 ‘스튜디오 엑스트라’라는 비알코리아 내 디자이너 집단이다. 허희수 SPC그룹 부사장(비알코리아 전략총괄임원)의 주도로 2021년 꾸려진 이 조직은 배스킨라빈스의 변화를 지속가능성에 방점을 둔 디자인을 통해 구현해 내고 있다.
스튜디오 엑스트라의 중심에는 김진희 비알코리아 디자인실장(47·사진)이 있다. 김 실장은 9일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에서 “처음엔 내부에서 브랜드의 상징과도 같은 정체성을 없애는 무리한 도전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며 “배스킨라빈스가 ‘파타고니아’처럼 지속가능한 브랜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이런 변화가 꼭 필요하다는 허 부사장의 결단으로 성공리에 추진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플라스틱 소재로 된 블록팩은 레고처럼 쌓을 수 있어 인기가 높았다. 김 실장과 디자이너들은 블록팩 소재를 종이로 바꾸는 과정에서 이런 모양과 분홍색을 과감하게 포기했다. 그러면서도 상자 모서리를 둥글게 말아내는 기술을 적용해 고유한 정체성을 살렸다. 블록팩을 종이로 전환해 절감할 수 있는 플라스틱 양은 연간 520t에 달한다.
배스킨라빈스의 도전은 세계 유수 디자인상을 휩쓰는 성과로도 이어졌다. 종이 블록팩을 비롯해 음료 용기, 케이크 상자와 받침 등 제품 포장 대부분을 재생 용지로 구현한 디자인 시안이 올해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커뮤니케이션디자인 부문)’과 ‘iF 디자인 어워드(식품패키징 부문)’를 거머쥔 것이다. 아이스크림을 퍼내는 도구인 스쿱에서 착안해 개발한 전용 서체인 ‘스쿱체’도 iF 어워드서 입상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6/01.36977414.1.jpg)
식품업계에서는 비알코리아가 기존의 틀에 얽매이지 않은 파격을 선보인 데에는 김 실장의 글로벌 경험이 한몫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김 실장은 미국의 예술·디자인 명문대학인 로드아일랜드 디자인스쿨 졸업 후 로레알과 티파니, 에스티로더, 세포라 등 글로벌 기업서 디자이너로 근무했다. 비알코리아에는 2021년 합류했다.
배스킨라빈스는 최근엔 보냉을 위해 스티로폼으로 제작했던 아이스크림 케이크 상자도 종이 상자로 바꾸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김 실장은 “미국에서는 이미 지속가능한 브랜드를 목표로 유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며 “패키징도 단순히 종이 소재를 채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장기적으로 생분해 및 친환경 인쇄로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