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6/01.36988823.1.jpg)
※한경 마켓PRO 텔레그램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텔레그램에서 ‘마켓PRO’를 검색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6/01.36987589.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6/01.36987590.1.jpg)
김대현 하나증권 용산WM 센터장
지난달 주식시장은 반도체의 변동성 확대와 자동차, 화장품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미국 시장의 엔비디아 고공행진 속에 국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명암이 극명하게 갈렸다. 외국인은 지난달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3000억원을 순매도했다. 삼성전자가 엔비디아 고대역폭메모리(HBM) 테스트에 실패했다는 소식이 퍼지면서 삼성전자는 매도 상위, SK하이닉스는 매수 상위에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달 한국 수출은 581억5000만달러(80조원)로 전년 동월 대비 11.7% 증가하며 좋은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중 반도체는 113억8000만달러(15조7000억원)로 7개월 연속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고, 자동차 역시 64억9000만달러(9조원)로 역대 5월 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또한 지난 칼럼에서도 언급한 화장품 수출액 역시 7억4000만달러(1조원)를 달성하면서 전월 대비 3% 증가, 전년 대비 11%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내수경기의 부진 속에 그나마 일부 업종의 수출 지표가 좋아지면서 지수의 하방을 유지하고 있는 모습이다. 화장품의 이야기를 해보자면 최근 미국, 일본을 포함한 글로벌 전역에서 인기가 치솟고 있는데, 내년에는 화장품 수출액이 100억달러(13조8000억원)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별로는 중국 대상 비중이 23%로 가장 높지만, 전년 대비 감소추세에 있다.
이러한 인기를 바탕으로 오프라인의 확대도 예정돼 있는데, 실리콘투의 오프라인 매장오픈과 아모레퍼시픽의 라네즈(세포라), 마녀공장의 클렌징오일(코스트코) 등이 최근 증가 추세에 진입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 화장품 수입국 중 프랑스를 제치고 점유율 1위를 기록한 것은 한국화장품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작년에 이어 올해 상반기까지도 관련 화장품 매출 성장세는 전년 대비 20%를 상회하고 있다. 2015년 중국 수출 중심의 화장품 랠리 당시 국내 화장품 관련주들의 평균 밸류에이션이 주가수익비율(PER) 30배 이상까지 올랐던 만큼, 다시금 큰 사이클이 도래한 이 시점에도 계속해서 관심을 갖고 눈여겨봐야 한다. 지속해서 반도체와 자동차, 실적 성장이 이어지는 미용 의료기기, 화장품, 전력인프라 변압기 등을 포트폴리오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견해는 소속기관의 공식 견해가 아닌 개인의 의견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