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06월 10일 19:05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6/01.36989990.1.jpg)
신한글로벌액티브리츠가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가를 희망 가격 하단인 3000원으로 확정했다.
신한글로벌액티브리츠는 3~5일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경쟁률이 38.7대 1로 집계됐다고 10일 공시했다. 공모가 기준 신한글로벌액티브리츠의 공모금액은 700억원, 예상 시가총액은 1304억원이다.
이번 수요예측에는 국내외 기관 535곳이 참여했다. 참여 기관의 절반 이상이 희망 공모가격(3000~3800원)의 하단에 가까운 3300원 근처에 가격을 제시했다. 상장 이후 일정 기간 주식을 팔지 않겠다는 의무보호예수를 약속한 곳은 2곳(0.2%)에 그쳤다.
금리 인상에 따른 리츠 매력 감소와 해외 부동산에 대한 우려가 반영됐다는 평가다. 신한글로벌액티브리츠와 주관사 신한투자증권은 이런 시장의 우려를 적극 반영해 다양한 투자자가 참여할 수 있는 시장친화적인 가격으로 공모가를 결정했다.
이번 수요예측은 리츠 기업공개(IPO) 최초로 희망 가격 범위를 제시한 뒤 기관투자가 수요예측을 통해 공모가를 확정한 사례다. 기존 증시에 상장한 리츠는 모두 공모가를 5000원 단일가격으로 제시했다. 해외 부동산 시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가 있는 만큼 공모가를 기존 상장 리츠보다 낮춰 투자자들의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한 전략이었다.
신한글로벌액티브리츠는 국내 최초 글로벌 개방형 부동산 펀드 리츠다. 신한리츠운용이 신한알파리츠, 신한서부티엔디리츠에 이어 내놓은 세 번째 상장 리츠이기도 하다. 이 리츠는 100% 자회사인 신한글로벌제1호리츠(자리츠)를 통해 현재 미국 개방형 부동산 펀드 세 곳에 투자했다. 현재 1800억여원을 △USGB(투자 비중 51.8%) △PRISA(39.8%) △CBRE USCP(8.4%) 펀드에 각각 투자했다.
실물자산에 직접 투자하지 않고 개방형 펀드에 투자하는 만큼 언제든지 중도 환매와 재투자가 가능하다.
신한글로벌액티브리츠는 오는 13~14일 일반청약을 진행한다. 일반 IPO와 달리 모든 청약자에게 동등하게 공모주를 배정하는 균등 배정 없이 청약금액에 따라 공모주를 배정하는 비례 배정 방식으로만 진행된다.
공모가가 희망 가격 하단으로 결정되면서 기대 배당수익률은 높아진 점은 청약 흥행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혔다. 신한글로벌액티브리츠의 10년 연평균 예상 배당수익률은 공모가 3000원 기준 9.23%다. 공모가가 희망 가격 상단에서 결정됐을 때보다 약 1.2%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최석철 기자 dolsoi@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