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6/01.37007269.1.jpg)
매매계약 체결 과정은 부동산 거래의 핵심 단계로, 계약서에 서명하고 날인하기 전에 모든 조건을 철저히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투자자(매수자)는 다음과 같은 실사 절차를 통해 부동산의 가치와 위험을 평가해야 합니다.
1. 물리적 실사 (Physical Due Diligence)
이 단계에서는 부동산의 구조적 안전성, 건물의 상태, 필요한 수리 및 유지 보수 작업의 범위와 같은 물리적 요소를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잠재적인 비용과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법률적 실사 (Legal Due Diligence)
법률적 검토 과정에서는 부동산의 소유권, 등기 사항, 저당권 및 기타 부담 조건을 확인합니다. 또한, 임대차보호법, 토지 사용 권한 및 기타 관련 법률 문제를 검토하여 법적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3. 운영 실사 (Operational Due Diligence)
임차인과의 계약 조건, 임대료 수준, 임대료 입금 방식, 임대 계약의 만료 및 갱신 조건 등을 검토합니다. 임차인의 신용도와 과거 임대기록을 분석하여 임대 수익의 안정성을 평가합니다. 또한, 공실률이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임차인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적 검토를 하여 임차인 유지율과 공실률을 예측합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6/01.37007268.1.jpg)
4. 금융적 실사 (Financial Due Diligence)
금융적 실사 (Financial Due Diligence) 과정은 부동산 거래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로, 매도인이 부동산을 담보로 설정한 대출의 규모와 조건을 면밀히 분석하여 부동산의 재무 건전성을 평가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매도인의 대출 차입 명세, 대출의 이자율, 상환 조건, 만기일 등을 자세히 검토하여, 매도인이 어떤 금융 부담을 지고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합니다.
또한, 매매계약이 체결된 후 잔금 지급 시점에 매도인이 기존에 차입한 모든 대출금을 상환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소유권 이전 등기를 위한 필수 조건 중 하나로, 매도인의 대출 상환 능력과 관련된 금융 증빙 자료를 통해 검증합니다.
대출금 상환 능력이 부족할 경우, 이는 거래의 성공적 완료에 중대한 장애가 될 수 있으며, 매수자에게 불필요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융적 실사는 매도인의 재무 상태와 대출 상황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부동산 거래의 재무적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거래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경부동산밸류업센터 landvalueup.hankyung.com
배준형 수석전문위원(밸류업이노베이션 대표)
정재윤 법률전담팀(밸류업이노베이션 변호사)
조아람 부동산전담팀(밸류업이노베이션 공인중개사)
문의 : 02-3277-9856 / landvalueup@hankyung.com
※ 본 기고문의 의견은 작성자 개인의 의견이며, 소속회사의 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빌딩 투자 업그레이드 플랫폼' 한경부동산밸류업센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