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의금 안 내도 되는데"…오히려 눈치보는 예비 부부들 [이슈+]

입력 2024-06-22 21:51  


"밥만 먹으라고 연락하고 싶은데 오해할 수 있으니까...이도 저도 못하는 딜레마가 생기죠."

다음 주 예식을 앞둔 예비 신랑 정모(31) 씨는 결혼을 준비하면서 지난 2개월간 10회가량의 청첩장 모임을 가졌다. 친구, 직장 동료 등 친한 지인에게 청첩장을 건네며 밥을 사는 자리다. 정 씨는 간만에 친구들과 만난 자리에서 "축의금 정말 더 안 내도 된다. 애인이랑 그저 같이 와서 축하해주면 고맙겠다"는 말을 가장 많이 했다.

정 씨는 "어차피 '최소보증인원'이 있어 하객이 오지 않아도 식대를 결제해야 한다"며 "자리해주는 것만으로 고마워 순수한 마음으로 음식을 대접하고 싶은 건데도 괜히 상대방이 '축의금 챙기려 한다'고 생각할까 봐 초대를 고민하게 된다"고 털어놨다. 이어 "결혼 준비하는데 생각할 게 너무 많아 예비 아내와 우스갯소리로 '비대면 결혼식 올리고 싶다'고 푸념할 정도였다"며 쓴웃음을 지었다.

최소보증인원 등 예식장 업계 관행이 결혼식 문화의 본질적인 가치를 훼손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기에 최근 들어 예식장 대관료, 식대 등 비용까지 크게 올라 결혼을 앞둔 예비부부들의 부담은 나날이 커져가고 있다.

예비부부가 공통적으로 비판하는 부분은 예식장의 '최소보증인원'이었다. 실제 올 하객의 수와 무관하게 부부가 예식장을 빌리면서 먼저 결제하는 식대 비용을 이른다. 서울 시내 예식장들은 대부분 200~300명의 최소 보증 인원을 계약 조건으로 둔다.

정 씨가 예식을 치르는 식장의 보증인원은 200명이다. 식대가 5만원이라고 가정하면, 하객이 몇 명 오든 간에 식대로 1000만원은 무조건 내야 한다는 뜻이다. 청첩장 모임에서 예비 신랑·신부들이 "축의금 더 안 내도 되니까 친구들과 같이 와서 식사해"라는 말이 진심인 이유다.

정 씨는 "요즘엔 친척 왕래가 적어 하객으로 부를 가족도 많지 않다"며 "보증 인원이 100~150명 정도로 현실성 있게 조정된다면, 설령 식대가 비싸진다고 하더라도 더 수준 높은 음식으로 친한 지인들에게 대접할 수 있어 좋을 것 같다"며 "그런 식장을 찾아보기 힘든 게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반면 하객의 입장에선 주최자가 아무리 "밥만 먹으러 오라"고 말해도 가벼운 축의금으로 결혼식에 참여하기 어렵다. 직장인 한모(29) 씨는 "지난주 강남구 논현동의 예식장에 갔는데, 가는 길에 식대를 검색해보니 10만원이었다"며 "주최자는 '부담 갖지 말고 와서 축하만 해달라'고 했지만 식대를 아는데 어떻게 그러냐"며 "이날도 축의금으로 15만원을 냈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요즘 결혼식은 부르는 친구도 미안해하고 하객으로 참석하는 이도 부담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3월 빅데이터 상권분석 플랫폼 '핀다 오픈업'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예식장 1곳당 평균 매출은 약 5억3000만원이었다. 전년 매출인 4억2800만원보다 23.8% 급증했다. 코로나19 발생 첫해인 2020년의 예식장 평균 매출은 2억100만원이었다. 3년 새 2.6배에 달하는 수준으로 매출이 불어난 것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예식장의 주 고객인 예비부부의 고통만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한 예식장업 관계자는 "인건비와 시설 유지비용, 식대 등 원재룟값 상승이 예식장 대관료가 늘어난 원인"이라고 해명하기도 했다.

늘어나는 예식 비용과 관련, 이영애 인천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혼인 건수가 계속 줄어드니 업체 입장에서는 예식 한 건마다 비용을 높게 받아야 생존하는 구조"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반복 소비가 없는 시장이라 소비자의 후기가 시장에 닿기 어렵다"며 "업체끼리 가격 경쟁을 하지도 않아 시장 논리로는 자정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공의 개입이 절실하다"면서 "기존 업체들이 경쟁의식을 느낄 정도로 높은 수준의 공공 예식장 등을 만들어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