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27일 한경 밀레니엄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우주 분야 신생 기업의 성장을 위해 우주항공청이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6/AA.37174351.1.jpg)
윤 청장은 이날 “국내 우주 기업을 2000개 이상, 우주 일자리를 50만 개 이상 창출하겠다”고 구체적 수치를 제시했다. 글로벌 100위 안에 드는 우주 기업을 10개 이상 배출하겠다고도 했다. 현재 100대 우주 기업으로 분류되는 국내 업체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세 곳뿐이다.
세계 우주항공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1% 이하로 추정된다. 윤 청장은 “우리 목표는 위성 자력 발사 능력이 있는 우주항공 7대 강국을 넘어 심우주 탐사 능력이 있는 5대 강국으로 가는 것”이라며 “20년 안에 인도와 일본을 제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이를 위해선 우주산업을 한국의 주력 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청장은 “2045년쯤엔 우주경제 시장이 42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여기서 점유율 10%인 420조원을 우리가 가져오겠다”고 말했다.
강경주/황동진 기자 qurasoh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