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시장조사업체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12대 수출 주력 업종에 속한 매출 상위 1000대 기업(152개사)을 대상으로 ‘2024년 하반기 수출 전망 조사’를 한 결과 응답 기업의 63.2%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답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선박(수출 증가 전망 응답 비중 100%), 석유화학(75%), 바이오헬스(72.7%), 자동차부품(70%), 전기·전자(68.3%) 분야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일반기계(54.5%), 자동차(50.0%)는 증가와 감소가 비슷한 비율로 나왔고 철강(46.2%), 석유제품(0%)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 기업이 더 많았다.
수출 증가 이유에 대해서는 업황 개선(35.4%), 신기술 개발 등 제품 경쟁력 강화(15.6%) 등을 꼽았다. 수출 감소를 예상한 기업들은 △원자재 및 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 경쟁력 약화(33.9%) △중국 등 주요 수출 대상국 경기 부진(25.0%)을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수익성은 비슷하거나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응답 기업 10곳 중 8곳(79.0%)은 수출 채산성이 작년 하반기보다 비슷(50.0%)하거나 악화(29.0%)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채산성이 악화할 것이라는 응답이 많은 업종은 석유제품, 바이오헬스, 석유화학, 전기·전자, 철강, 일반기계 등이었다. 개선될 것이란 답이 많은 업종은 선박, 자동차, 자동차 부품 등이었다.
채산성 악화 요인으로는 △원자재 가격 상승(38.7%) △수출단가 인하(22.7%) △수입 비용 증가(13.6%) 등을 꼽았다. 기업들은 수출 채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 원·달러 환율을 평균 1332원으로 생각했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