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01.37212848.1.jpg)
#지난달 인공지능(AI) 반도체 설계회사 텐스토렌트에 투자하는 신기술사업투자조합 상품이 1주일 만에 ‘완판’됐다. 애플, AMD, 테슬라를 거친 ‘반도체 설계의 전설’ 짐 켈러 최고경영자(CEO)가 창업한 비상장 스타트업이다. 삼성증권이 1000억원 이상 자산가들에게만 독점 판매했는데, 모집액 650억원이 금세 마감됐다.
#3000억원대 자산가인 A씨는 최근 미래에셋증권 프라이빗뱅커(PB)로부터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가 세운 AI 기업 xAI에 투자할 의향이 있냐는 전화를 받았다. 슈퍼리치들로부터 200억여원을 모아 투자하는 상품을 내놓을 예정인데 우선 기회를 주겠다는 것이다. A씨는 자신이 운영하는 회사를 통해 5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약속했다.
일반투자자에게 생소한 금융투자상품이 초고액 자산가 사이에서 소리소문없이 팔려나가고 있다. 비상장 주식에 투자하는 신기술사업투자조합, 사모금전신탁, 사모대출펀드(PDF) 등 듣도 보도 못한 상품이 자산관리(WM) 시장에 등장한다. 이런 상품들은 리스크가 커 최소 투자금 10억원 이상, 자산 규모 1000억원 이상 자산가에게만 판매된다. 일반인은 정보를 알 수도 없고, 투자하고 싶어도 불가능하다. 자산 규모에 따라 WM 시장이 양분되는 이유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AA.37210499.1.jpg)
상장이나 회사채 발행, 증자 등 증권사의 주요 수입원이 될 수 있는 IB 거래를 패밀리오피스 고객으로부터 소개받기도 한다. IB 뱅커들이 회사를 찾아다니며 영업하지 않아도 기업을 운영하는 자산가들을 WM 시장에 가둬놓으면 관리보수도 받고 거래도 따낼 수 있어 선순환 구조가 형성된다. IB업계 관계자는 “부자가 된다는 건 투자 기회가 많아진다는 뜻”이라며 “부자들은 어디에 어떻게 얼마나 투자해야 좋을지 누구보다 먼저 알기 때문에 이들이 WM 시장에서 투자 나침반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모펀드와 증권사, 고액 자산가 간 삼각 협업도 늘고 있다. 작년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가 합병할 당시 IMM자산운용은 싱가포르 테마섹에서 셀트리온 주식을 매수한 뒤 구조화해 증권사 패밀리오피스 고객에게 팔았다. 최저 수익률 연 5%를 보장해주는 조건으로 1150억원어치를 판매했다.
기업에 돈을 빌려주고 이자와 원금을 받는 PDF나 대출채권담보부증권(CLO)도 중위험·중수익을 기대하는 슈퍼리치들에게 인기다. 한 PB는 “요즘 슈퍼리치들은 달러, 채권, 비상장 주식 등으로 직접 자산 배분 비율을 설계한 뒤 자신이 정한 내부수익률에 맞는 상품을 가져오라고 디테일하게 요구한다”고 했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