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AA.37256137.4.jpg)
서울 아파트 거래가 월 5000건을 넘긴 것은 부동산 상승기인 2021년 5월(5045건)이 마지막이었다. 문재인 정부 5년간 서울 아파트 월평균 거래는 6100여 건이었지만 윤석열 정부 출범 후 2년간 월 2400여 건으로 쪼그라들었다. 하지만 지난 3월부터 넉 달 연속 4000건 이상을 기록하며 거래량이 크게 늘었다.
아직 집계가 끝나지 않은 6월 거래 건수가 5월 거래량을 웃돈 지역이 나오고 있다. 강동구(5월 307건→6월 375건)와 성동구(290건→327건), 서대문구(180건→212건), 관악구(128건→136건), 동대문구(200건→207건) 등이 대표적이다. 도심이나 강남 등으로 오가기 편해 수요자가 몰리는 지역이라는 게 공통점이다.
강북구(73건→77건)와 중랑구(142건→148건) 등 중저가 지역에서도 6월 거래량이 5월 수치를 뛰어넘었다. 거래가 살아나며 가격도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첫 주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주보다 0.20% 상승했다. 3월 넷째 주 이후 15주 연속 오름세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 서울 아파트 공급난 우려와 분양가 상승, 미국 금리인하 기대, 실질 대출 금리 하락 등 여러 요인이 겹쳐서다. 윤수민 농협은행 부동산 전문위원은 “집값이 더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에 불안을 느껴 매수에 나서는 사람이 늘고 있다”며 “실수요 기반으로 거래량이 증가하고 가격이 오르고 있어 2020~2021년 수준의 비정상적인 폭등 장세는 나타날 가능성이 작다”고 분석했다.
정부가 늘어나는 가계 부채를 관리하기 위해 대출 조이기에 나서는 건 부담이라는 지적이다. 정부는 1월 신생아 특례대출을 출시해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을 지원했다. 당초 7월 도입할 예정이던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규제 적용을 2개월 연기하기도 했다. 금융당국은 5월 국내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전월보다 5조7000억원 증가하자 다음달까지 은행권 가계대출 관리 실태를 살펴보는 등 현장 점검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