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때문에 한국 사는 내 지갑 털린다고?" 무서운 경고 [노유정의 의식주]

입력 2024-07-13 13:00   수정 2024-07-19 17:36



미국 대선이 하반기 글로벌 증시를 뒤흔들 핵심 변수로 떠오른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을 점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달 열린 첫 대선 후보 TV 토론 이후 미국 민주당과 공화당 중 어느 쪽이 승기를 잡느냐에 따라 희비가 갈리는 산업들도 윤곽이 잡히는 모양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각각 공약과 공개 석상에서 한 발언들을 토대로 국내 주요 산업과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들을 정리했다.
트럼프 당선되면 내 대출금리가 오른다?



트럼프와 바이든, 두 유력 후보의 공약이 극적으로 갈리는 분야는 세금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부자 증세 카드를 꺼내들었다. 부유층과 대기업에 더 많은 세금을 부과해 미국의 역대급 재정적자를 줄이겠다는 취지다. 중산층 이하 유권자의 표심을 겨냥했다는 분석이다.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소득세 폐지를 포함한 대규모 감세를 내세우고 있다. 세금을 감면해줘야 경제가 살아난다는 주장이다. 2018년 트럼프 행정부 당시 도입된 ‘감세와 일자리 법(TCJA)’에 따라 미국 연방 법인세율은 35%에서 21%로 인하됐고, 소득세율도 구간별로 2~3%p 인하됐다. TCJA는 올해 말 종료될 예정이나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백악관으로 돌아갈 경우 수명이 연장될 전망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감세 공약은 국내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재정적자가 역대 최고 수준인 미국은 세수가 줄어들면 국채 발행을 늘릴 가능성이 크다. 이는 미 국채 가격을 떨어뜨리고, 국채 금리 상승으로 이어진다. 그런데 국내 대출금리의 기준이 되는 국내 은행채 금리는 미 국채 금리와 연동된다. 즉 미 국채 금리가 오르면 국내 은행채 금리가 상승하고, 대출금리도 오른다. 트럼프 2기가 출범하면 대출 이자를 더 많이 내야 할 수 있다는 의미다.
‘트럼플레이션’ 정말 올까
트럼프 전 대통령의 또 다른 주요 공약은 관세 인상이다. 그는 수입품에 관세 10%를 부과하고,중국산 수입품에 대해서는 6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트럼프식 관세는 한국 수출에도 악재다. 우리나라 6월 수출 1위 국가는 미국이다. 6월 대미 수출은 110억달러(약 15조1700억원)로 역대 6월 중 최고치를 썼다. 반도체 자동차 등 주력 수출품이 실적을 끌어올렸고, K-뷰티와 K-푸드 열풍 등 화장품과 식품도 한몫했다. 그러나 전 품목에 10% 관세가 부과된다면 타격이 불가피하다.



‘관세 쇼크’를 실제로 겪기도 했다. 2018년 3월 트럼프 행정부는 수입 철강에 관세 25%, 알루미늄 10%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유럽과 중국 등 주요국들은 즉각 반발했다. 우리나라는 관세를 면제받았으나 대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개정하며 쿼터(할당량)제를 적용받게 됐다. 또한 미국산 자동차 수입 제한을 완화해주며 나쁜 선례를 남겼다는 평가를 받았다.

일련의 과정을 겪는 동안 포스코 등 철강주, 현대차 등 자동차주는 부침을 거듭했다. 다만 중국산 수입품에 실제 관세 60%를 부과한다면 반사이익을 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누가 되든 원전에는 호재다



에너지 분야에서도 두 유력 후보의 입장은 극명하게 엇갈린다. 바이든 대통령은 임기 내 친환경 정책을 강화해왔다.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모든 에너지원을 사용해 에너지 비용을 낮추자는 주장을 견지하고 있다. 대선에서 승리하면 석유 시추를 세 배로 늘리겠다고 공언하기도 했다. 트럼프의 승으로 끝난 1차 TV 토론 이후 엑슨모빌 등 전통 에너지주 주가는 반등하고, 퍼스트솔라 등 신재생에너지주는 급락한 배경이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추진 동력도 약해질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선거 유세에서 “집권 첫날 전기차 보조금을 폐지하겠다”고 말하는 등 IRA에 강한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

다만 IRA의 전면 폐기는 쉽지 않다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 내 공장을 세워 전기차와 배터리 등 제품을 생산하는 방향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미국우선주의’와 맞아떨어진다는 분석이다. 한국 자동차 및 전기차 배터리 기업들이 투자한 지역 중 이번 대선의 경합주들이 많다는 점도 변수다. 경합주 6곳(위스콘신, 미시간, 펜실베이니아, 조지아, 네바다, 애리조나) 중 미시간과 조지아, 애리조나 3곳에는 이미 국내 전기차 관련 기업들의 공장이 있거나 세워질 예정이다.


다만 누가 당선되든 원전에는 호재다. 트럼프는 과거 취임 첫해인 2017년부터 당시 미국에서 침체돼 있던 원전 산업의 부활을 선언한 대통령이었다. 현재도 소형모듈원자로(SMR) 원자력 산업 투자에 적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도 최근 원자력발전소 확대 방침을 담은 청정 에너지를 위한 다목적 첨단 원자력 배치 가속화 법안(ADVANCE Act)에 서명했다. 이 법은 앞서 미국 상·하원에서 초당적 지지를 받아 통과됐다.


다만 트럼프 1기 행정부의 공약 이행률이 낮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트럼프 행정부의 공약 불이행률이 53%로 절반을 넘는다. 전 정부인 오바마 행정부나 현 바이든 행정부와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다.


기획·진행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촬영 소재탁 PD 디자인 이지영·박하영
편집 박수영 PD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