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AA.37322406.1.jpg)
오가노이드란 실험실에서 배양할 수 있는 초소형 ‘장기유사체’ 또는 ‘미니장기’로 자가조직화 과정을 통해 실제 장기를 높은 수준으로 모사할 수 있는 3차원 세포 집합체를 뜻한다. 특히 장의 상피조직을 모사하는 장 오가노이드는 2009년 최초로 개발된 이후 기초과학, 재생의학뿐만 아니라 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장 오가노이드가 재생 의학과 산업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되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한계들이 남아있다. 우선 기존의 장 오가노이드는 대량 배양이 어렵고, 오가노이드 모양과 기능이 균질하게 유지되지 않아 품질 관리가 어렵다.
장 오가노이드는 3차원 배양을 위해 지지체 역할을 하는 세포외기질이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마트리젤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마트리젤은 쥐의 육종암에서 생산되는 고가 물질로 조성 및 작용 기전이 불명확하다. 또 인간과 쥐의 근본적 차이로 인한 이종 감염 위험이 있어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의학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뿐만 아니라 장 오가노이드 배양에 필요한 배지도 생산 단가가 높아 대량 배양 및 상용화를 가로막는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융합연구센터는 최근 균질한 장 오가노이드를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상용화를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기존에 3차원 배양하던 장 오가노이드를 분해해 2차원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고, 2차원 배양된 세포들이 장 오가노이드의 핵심 성분인 장 줄기세포 집합체라는 것을 발견했다. 3차원 세포외기질 지지체 없이 빠른 속도로 자가증식이 가능한 고순도의 장 줄기세포 집합체를 2차원 배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마트리젤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지지를 받지 않고 세포를 배양할 수 있게 됐다는 특징이 있다. 쉽고 빠르게 줄기세포 집합체를 증식시킬 수 있게 돼 대량 배양 기술 개발이 가능해진 것이다. 또 고가의 배지 조성물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을 추가 개발함으로써 배지 생산 단가를 낮출 가능성 역시 제시했다.
새롭게 개발한 2차원 배양 장 줄기세포 집합체의 재생치료제로서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장 상피가 손상된 질환 쥐를 제작하고, 쥐의 손상된 장 상피에 장 줄기세포 집합체를 내시경을 이용해 이식했다. 이식 후 장 줄기세포 집합체가 손상 부위에 생착해 해당 부위가 빠르게 재생되며 회복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 쥐의 체중 증가와 생존율이 장 줄기세포 집합체를 이식하지 않은 쥐에 비해 높게 나와 재생치료제로서의 잠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는 장 줄기세포 집합체를 실제 의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재생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AA.37322518.1.jpg)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