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AA.37363100.4.jpg)
16일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로의 지역 내 배달 앱 점유율은 10%가량이다. 경기도 배달특급 등이 1~2%대 점유율을 기록하는 것과 다른 행보다.
2021년 서비스를 시작한 대구로는 가입 회원이 2021년 17만 명에서 지난달 말 54만여 명으로 늘어났다. 가맹점도 같은 기간 9000개에서 1만8000개로 증가했다. 약 4만5000개인 대구 음식점의 40%가 대구로에 가맹한 셈이다.
지난해 배달 주문은 231만 건, 매출은 570억원이었다. 대구로에서 이용 가능한 택시 호출 건수도 268만 건에 매출은 75억원에 달했다. 소상공인이 대구로를 통해 받은 수수료 절감 혜택은 총 105억원에 이른다. 대전과 충남은 각각 지난해 4월과 5월, 부산은 올해 5월 공공배달 앱을 폐지했다.
대구로는 지자체 지원에 의존한 공공 앱은 성공하기 어렵다는 편견을 깬 사례로 주목받는다. 시가 공공기관에 운영을 맡기지 않고 정보기술(IT) 전문사업자와 함께 앱을 운영한 점이 성공 비결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안중곤 대구시 경제국장은 “대구로는 시장을 독점한 민간 배달 앱 횡포에 맞서 영세 상인을 보호한다는 취지를 실현하고 있다”며 “음식 배달에 그치지 않고 택시 호출, 대리운전 탑재 등 꾸준히 서비스를 확대해 시민 생활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덕분”이라고 밝혔다.
대구로만의 공공성을 갖춘 서비스도 호평받고 있다. 결식 아동이 편의점에서 끼니를 때우지 않고 낙인효과 없이 집에서 식사를 주문할 수 있도록 한 아동급식카드 결제 기능을 비롯해 배달팁 전액 지원, 택시 호출과 대리운전 이용 시 가족에게 문자를 전송하는 안심 메시지 기능은 민간 배달 앱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 서비스로 꼽힌다. 대구시는 온누리상품권을 대구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는데, 정부는 지난 15일 이 방안을 전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최근 민간 배달 앱이 수수료를 대폭 인상하면서 대구로가 더욱 주목받고 있다. 결제 수수료를 합한 배달 플랫폼별 총수수료율은 배달의민족(다음달 9일부터)과 쿠팡이츠가 12.8%, 요기요가 15.5%인 반면 대구로는 4.2%에 불과하다. 민간 배달 앱이 수수료를 올리자 소상공인 사이에서는 최저임금보다 무서운 게 수수료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배달 매출에서 쿠팡이 50%, 배민이 30%, 대구로가 20%를 차지한다는 한 시내 소상공인은 “최근 매출이 상승했지만 민간 배달 앱 수수료가 크게 올라 실수익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대구로가 없었으면 매출이 더 줄 뻔했다”고 말했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