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32.72
(12.34
0.5%)
코스닥
695.59
(13.80
2.02%)
  • 비트코인

    123,336,000(0.54%)

  • 이더리움

    2,347,000(-1.95%)

  • 리플

    3,111(-0.1%)

  • 비트코인 캐시

    492,500(3.71%)

  • 이오스

    959(4.13%)

  • 비트코인 골드

    1,313(-763.82%)

  • 퀀텀

    2,957(2.92%)

  • 이더리움 클래식

    22,280(-1.41%)

  • 비트코인

    123,336,000(0.54%)

버튼
가상화폐 시세 관련기사 보기
  • 비트코인

    123,336,000(0.54%)

  • 이더리움

    2,347,000(-1.95%)

  • 리플

    3,111(-0.1%)

  • 비트코인 캐시

    492,500(3.71%)

  • 이오스

    959(4.13%)

  • 비트코인 골드

    1,313(-763.82%)

  • 퀀텀

    2,957(2.92%)

  • 이더리움 클래식

    22,280(-1.41%)

정보제공 : 빗썸 닫기

올라도 너무 올라…'조정장 우려' 감도는 월가

입력 2024-07-17 17:15   수정 2024-07-18 00:51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올 들어 글로벌 증시가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지만 미국 월가 전문가들 사이에선 ‘강세장’을 끝낼 수 있는 위협 요인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고 이코노미스트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올라도 너무 올라조정장 우려 감도는 월가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미국, 유럽, 일본, 인도 등 ‘빅4’ 증시는 올 들어 일제히 기록을 갈아치우며 사상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각국 벤치마크 지수를 살펴보면 미국 S&P500은 2020년 1월 이후 지난 15일까지 74%, 유로스톡스600과 일본 토픽스는 각각 24%, 68% 상승률을 나타냈다. 인도 BSE센섹스는 같은 기간 95% 넘게 급등했다. 이 같은 급격한 상승으로 조정을 두려워하는 월가 전문가가 늘고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전했다.
자산운용사 아폴로글로벌매니지먼트의 토르스텐 슬로크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거품이 더 커지고 있다”며 “이제 동시에 출구를 향해 달려갈 경우를 걱정해야 할 시기”라고 지적했다. 골드만삭스도 이달 초 ‘여름 시즌 우울증’이라는 메모를 통해 “충격 위험이 커졌는데 주가가 채권 대비 올랐다”고 경고했다. 마이크 윌슨 모건스탠리 최고투자책임자(CIO)도 “현재부터 미국 대선 사이 10% 조정 가능성”을 제시했다.


시장 조정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늘고 있는 것은 미국 증시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과도하게 급등했기 때문이다. S&P500지수는 2020년부터 현재까지 70% 넘게 상승했다. 이는 미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주가수익비율(PER)은 36배 수준이다.

특히 실질 수익률을 예측하는 지표인 ‘케이프 수익률’은 사상 최저 수준으로 주식 매도를 부추기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케이프 수익률이 국채 실질 수익률을 겨우 웃도는 수준이어서 시장 분위기가 조금만 달라져도 투자자들이 매도세로 언제든 바뀔 수 있다”며 “미국 증시가 현재보다 50% 넘게 빠져야 장기 평균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증시 비중이 가장 큰 미국 증시를 하락장으로 이끌 수 있는 위협 요인으로 △지정학적 돌발 변수 △금융시스템 충격 △미국 경제 상황(실적 포함)을 지목했다. 지정학적 돌발 변수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재선에 따른 관세 정책 시행은 인플레이션율 상승과 함께 경기 침체를 촉발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중동·우크라이나 등 전쟁에 따른 국제 유가 상승과 중국의 대만 봉쇄 등 지정학적인 돌발 변수로 인한 조정 시 헤지(위험 회피)할 방법이 없다고 지적했다.


월가 전문가들은 미국 국채시장을 비롯한 금융시스템 충격을 우려한다. 스튜어트 카이저 씨티그룹 주식거래 전략책임자는 “미국 재정적자가 급증했다”며 “내년 새 대통령이 과세를 검토할 때 취약한 공공 재정이 주목받을 수 있고, 이는 채권시장 붕괴 촉매제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


관련뉴스

랭킹뉴스 더보기

가상화폐 시세 기사 보기 +

    • 비트코인

      123,336,000(0.54%)

    • 이더리움

      2,347,000(-1.95%)

    • 리플

      3,111(-0.10%)

    • 비트코인 캐시

      492,500(3.71%)

    • 이오스

      959(4.13%)

    • 비트코인 골드

      1,313(-763.82%)

정보제공 : 빗썸

온라인에서 만나는 '한경TV LIVE'
  • 한국경제TV 24시간 LIVE
  • 굿모닝 작전 "對中 관세 125% 아닌 145%"··· 한치의 양보 없는 美-中 치킨 게임의 승자는
  • 오늘장 뭐사지? 美·中 무역 갈등 재점화, 韓증시 영향은?
  • 주식 콘서트 - 변동성 장세 단기 핵심 유망주 大공개! | 이동근
  • 와우글로벌 Oh My God [LIVE] 中, 내일부터 미국산 수입품 관세 125% | 美 3월 PPI 예상치 하회 | JP모건, 웰스파고, 모건스탠리, 블랙록 美 은행주 실적 | Oh My Godㅣ04/11

한국경제TV

24시간 LIVE 채팅참여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
광고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