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이나 첨단 무기체계 같은 방위산업은 자금 공여를 병행하는 게 근래의 추세다. 수십조원씩 들어가는 원전 사업은 수요처의 다급한 건설 필요성과 부족한 예산을 고려해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가동이 시작된 뒤 안정화와 지속적 관리도 건설 프로젝트와 연계되는 큰 비즈니스다. 이번에 체코의 2기 건설로 한 번 ‘깃발’을 꽂으면 이 원전의 운영 사업과 향후 체코의 다른 원전 사업까지 노릴 수 있다.
연구개발(R&D)과 제조 등 ‘원전 생태계’ 유지까지 염두에 두면 덤핑론은 더욱 무리다. 지난해 정부가 원전 생태계 복원 차원에서 이 분야 강소기업 150개를 육성하겠다고 한 바 있다. 그러면서 2027년까지 투입하겠다는 R&D 예산은 6750억원에 그친다. 이런 상황에서 국제 원전시장에서 대규모 수주에 성공하면 그 낙수효과는 계산조차 쉽지 않을 정도로 클 것이다. 어떤 분야든 조 단위 사업에 대해 해당 산업의 직접 당사자가 아닌 한 덤핑이니 적자 수주니 하는 평가를 쉽게 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 된다는 얘기다. 더구나 경쟁자인 프랑스 기업을 따돌린 데는 한국 원전의 기술적·경제적 혁신성에 체코 정부가 주목했을 수 있다.
돋보이는 민관 원팀으로 이룬 체코 원전 수주를 계기로 수출의 중요성을 거듭 주목하게 된다. 새삼스러운 일도 아니지만 수출 한국이 흔들리면 산업 기반도, 일자리도, 세수도, 성장도 다 차질을 빚는다. 백번 양보해 이번 건설만으로는 설령 손실이 나도 향후 유지보수 사업을 따고 다른 사업까지 수주해 나가면 메우고도 남는다. 자해 같은 백해무익 덤핑론에 국회와 정치권까지 놀아날까 겁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