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AA.37399896.1.jpg)
남북경협 관련주는 대선·총선 관련주와 함께 주가 변동이 잦은 테마주로 꼽힌다. 거론된 종목들은 정치 테마와의 연관성이 적은데도 개인투자자의 ‘한탕 심리’를 자극하며 주가가 출렁이고 있다. 세아그룹 계열 의류회사인 인디에프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임하면 개성공단 사업이 재개될 수 있다는 기대에 주가가 들썩였다. 과거 트럼프 재임 기간 남북 화해 분위기가 조성됐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2008년 개성공단에 진출한 인디에프는 2016년 공단 폐쇄로 대북 사업을 중단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19년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개성공단을 재개하기에 적절한 시기가 아니다”고 언급하며 대북 사업 재개도 불투명하다.
일신석재는 지분 41.32%를 통일교 재단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유지재단’이 보유했다는 이유로 주가가 올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퇴임 이후 한 강연 활동이 상승 재료가 됐다. 지난해 7월 워싱턴포스트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0만달러(약 28억원)를 받고 통일교 행사에서 두 차례 연설했다고 보도했다. 석공 사업을 하는 업체와 사실상 관련성이 없는데도 주가가 오르내렸다. 자산운용사 한 관계자는 “정치적 이슈를 엮어 주가를 움직이는 작전 세력에 휘둘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