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저 챔피언’이라는 타이틀을 달 때까지 스물여덟 번의 도전이 필요했을 만큼 유독 메이저 대회와 인연이 없던 잰더 쇼플리(31·미국)가 단숨에 커리어 그랜드슬램을 꿈꾸는 선수로 우뚝 섰다. 세계 4대 메이저 대회 중 가장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제152회 디오픈 챔피언십에서 통산 두 번째 메이저 대회 우승을 차지하면서다.
지난 5월 PGA 챔피언십에서 데뷔 7년 만에 메이저 우승의 한을 풀었던 쇼플리가 2개월 만에 또 메이저 대회를 제패했다. 쇼플리는 22일 영국 스코틀랜드 사우스에어셔의 로열트룬GC(파71)에서 끝난 대회에서 최종 합계 9언더파 275타로 우승했다. 이날 최종 4라운드에서 6언더파 65타를 친 그는 공동 2위(7언더파 277타)인 저스틴 로즈(잉글랜드)와 빌리 호셜(미국)을 2타 차로 제치고 통산 9승을 기록했다.
시즌 2승을 모두 메이저 우승으로 장식한 쇼플리는 2018년 브룩스 켑카(미국)가 US 오픈과 PGA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이후 6년 만에 한 시즌 메이저 대회에서 2승을 달성한 선수로 기록됐다. 그는 “한 해 두 번의 메이저 대회에서 우승하는 꿈이 현실이 됐다”며 “메이저 첫 승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지만 2승을 하는 건 또 다른 일이었다”고 기뻐했다.
그랬던 쇼플리가 2개월 전 첫 메이저 챔피언에 오른 뒤 ‘우승 전문가’로 다시 태어났다. 1타 차 공동 2위로 최종 라운드에 나선 그는 88.9%의 높은 그린 적중률을 앞세워 보기 없이 버디만 6개를 뽑아내는 집중력으로 승부를 뒤집었다. 우승상금 310만달러(약 43억원)의 주인공이 된 쇼플리는 “첫 메이저 우승이 후반 9홀에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며 “약간의 평온함을 느꼈다”고 말했다.
한 시즌에 두 개 메이저 대회를 휩쓴 쇼플리는 이제 커리어 그랜드슬램을 꿈꾼다. 남은 메이저 대회는 마스터스와 US 오픈이다. 쇼플리는 “그랜드슬램은 메이저 대회를 우승하기 전부터 원하던 것”이라며 “아직 가야 할 길은 멀지만 한 발짝 더 가까워졌다”고 했다. 골프 역사에서 4대 메이저 대회를 모두 우승한 선수는 진 사라젠과 벤 호건(이상 미국), 게리 플레이어(남아프리카공화국), 잭 니클라우스, 타이거 우즈(이상 미국) 등 5명뿐이다.
이 대회에 출전한 한국 선수 중에는 임성재(26)가 공동 7위(1언더파)로 가장 좋은 성적을 냈다. 안병훈(33)은 공동 13위(1오버파)로 대회를 마쳤다.
서재원 기자 jwse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