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A와 B의 포문을 처음 연 건 2023년 전막공연 ‘지젤’로 내한했을 때 에투알에 임명된 신예 발레리노 기욤 디오프였다. 매 공연 첫 무대(들리브 모음곡 파드되, 돈키호테 3막 파드되)마다 작품에 완전히 녹아들지 못한 채 남녀 2인무의 매력을 잘 살려내지 못한 건 못내 아쉬웠다.
첫 무대의 당혹스러움을 감탄으로 바꿔낸 구원투수는 박세은이었다. 그는 두 프로그램 모두 두 번째 선수로 나서며 ‘월드 클래스’는 분명 다르다는 점을 객석에 완벽히 각인시켰다.
박세은은 프로그램 A에서 ‘랩소디 파드되’를 선보였다. 안무가 프레더릭 애슈턴이 러시아 발레를 오마주해 영국 여왕에게 1980년 선물한 작품인데, 매년 프랑스와 영국을 대표하는 발레단이 변주하면서 독특한 스타일을 갖춰나가고 있다. 아이스링크를 연상시키는 듯한 무대 위를 박세은과 제레미 루퀘르가 마찰력 없이 미끄러져 나갔다. 선택적으로 중력을 받아들이는 듯한 가뿐한 도약 역시 탁월했다.
프로그램 B의 두 번째 작품인 ‘르 파르크 3막 파드되’는 앙줄랭 프렐조카주의 컨템퍼러리 작품으로 박세은이 오랜 파트너인 폴 마르크와 호흡을 맞췄다. 하얀 가운 차림의 두 남녀가 한밤중 마주치고 서로를 어루만지듯 춤을 추는 모습에 애틋함이 그대로 전해졌다. 발레리노와 입을 맞춘 채 하반신을 90도가량 들어올려 자신의 무게를 온전히 발레리노에게 의지한 박세은, 그리고 허리에 온 힘을 집중해 팽이처럼 빠른 속도로 회전하며 인체의 한계를 넘어버린 마르크에게서 전율이 느껴졌다.
‘세 개의 그노시엔느’에서 발레리나 레오노르 볼락과 발레리노 기욤 디오프는 섬세하면서도 절도 있는 동작으로 무대를 누볐다. 느린 선율에 버티는 동작이 많아 자칫 근력 자랑으로 흐를 뻔한 무용을, 아테네에서 이뤄진 신들의 올림픽처럼 경이롭게 풀어냈다. ‘정교함의 짜릿한 선율’은 폭발적인 슈베르트 교향곡 9번 4악장에 미국 현대무용가 윌리엄 포사이스가 더욱 역동적인 에너지를 느낄 수 있는 안무로 고안한 작품이다. 박세은을 비롯한 발레리나 3인과 발레리노 2인은 슈베르트의 열정을 포사이스의 과감함으로 뒤덮는 신기에 가까운 춤을 보여줬다.
이번 공연을 통해 에투알의 왕관이 기량만 뛰어나서는 절대 얻을 수 없는 것임을, 그들이 추구하는 예술성에서 느낄 수 있었다.
이해원 기자 umi@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