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AA.37498358.1.jpg)
예산정책처 측은 “사업취소 후 재승인 물량은 최초 사업승인을 받은 시점과 실적이 중복 계상된다”며 “국토교통부는 사업취소 물량을 제외한 순공급 실적을 별도로 발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선택형 분양주택(6년 임대 거주 후 분양 여부 선택)을 공공분양 실적으로 분류하는 게 타당한지 의문을 제기했다. 선택형 분양주택이 공공임대 항목에 포함되는 (분양전환형) 임대주택과 별 차이가 없어서다.
예산정책처는 더 나아가 인허가 중심으로 공급 실적을 관리하는 것의 한계도 지적했다. 건설형 공공임대는 최근 5년간 사업승인부터 준공까지 평균 4.3년이 걸렸다. 공공분양은 평균 6.6년 소요된다. 올해 서류상 공급(인허가) 실적이 늘어나더라도 국민이 체감하는 실제 공급(입주) 확대는 2030년께 이뤄진다는 뜻이다.
더구나 LH(한국토지주택공사)에 따르면 사업승인을 받아놓고 첫 삽을 뜨지 못한 건설형 임대주택 물량이 작년 기준 4만4777가구에 달할 만큼 미착공 문제도 심해지고 있다. 공사비 상승, 문화재 발굴 등 다양한 공사 지연 요인이 발생하고 있는 여파다. 예산정책처는 “착공·준공 및 입주 실적까지 함께 관리하고 공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