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중점을 둔 것은 정책 부분이다. 그는 “지금 민생 정책 개발은 민심 파악 기능을 중심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며 “민생 정책 개발 기능을 별도로 분리해 외부 논객의 ‘아웃소싱’도 강화하고 전문가도 더 좋은 대우로 채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선 여연에 투입되는 예산을 키우겠다는 게 한 대표의 구상이다. 지난해 기준 여연의 예산은 80억여원으로, 상당 부분이 여론 조사 등에 투입됐다. 확대 편성한 예산으로 박사급 연구원을 늘리고, 민생 정책 개발을 위한 아웃소싱과 전문가 섭외도 늘리겠다는 복안이다. 청년 정치 기능도 확대하기로 했다. 그는 이날 “국민의힘이 나아갈 길은 청년”이라며 “사무처에서 청년국을 많이 담당해왔지만, 정치자금법이나 관련 법제의 촘촘한 그물망에 한계가 너무 많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정당 차원에서 청년 관련 교육이나 행사를 할 경우 준비 과정에서 각종 규제가 많다. 여연에 청년 정치 지원 책임자를 두고, 수시로 청년들과 소통할 수 있는 채널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한 대표는 통화에서 “그동안 여연은 필리버스터 대응 같은 눈앞의 단기 전략을 만드는 데만 매몰돼 있었다”며 “‘싸움의 기술’ 대신 중장기 정책을 마련하자는 차원”이라고 강조했다. 당내 인사와 외부 전문가, 청년을 잇는 하이브리드 조직으로서 여연의 정체성을 재편하겠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이미 ‘고인 물’이 된 조직을 뜯어고치는 게 쉽지 않을 것이란 의견도 있다. 특히 ‘알음알음’ 방식의 인력 채용이 상시화되다 보니 구조조정부터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다른 직무와 겸임하면서 자리만 차지하는 인력도 많다는 게 당 안팎의 얘기다. 여연에 몸담았던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여연의 유일한 해결책은 조직을 해체하는 것이라는 말까지 나왔었다”며 “정무적 사안 대응은 당 기획조정국에 맡기고, 여연은 중장기적 아젠다 세팅을 하는 조직으로 바꾸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정소람/설지연/한재영 기자 ram@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