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지난 주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이 양호한 실적에도 예상보다 높은 지출이 부각돼 주가가 급락하면서 30일(현지시간) 폐장후 실적을 발표하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실적에 대한 기준도 올라가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 회사는 인공지능(AI) 관련 거액의 지출이 이 회사의 애져 클라우드 사업의 매출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줘야 하는 이 회사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현재 마이크로소프트는 선도이익의 약 32배라는 높은 가치로 거래되고 있다.
베어드의 상무이사인 테드 모튼슨 은 "마이크로소프트는 컨센서스를 큰 폭으로 넘어야 하고 생성AI의 수익화를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마이크로소프트는 엔비디아 다음으로 전세계적으로 가장 과도하게 소유된 주식이라며 두 회사는 월가의 예상을 넘는 정말 좋은 숫자를 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 주가는 올해 약 24% 상승했으나 옵션 데이터에 따르면 양 방향 모두 4.6%의 변동성을 암시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실적 보고서에서 핵심 수치는 애져 부문의 매출 성장이다. 월가의 컨센서스는 회계4분기에 애져 부문의 연간 성장률이 30%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투자자들은 AI관련 기여도가 지난 분기에 보고된 7% 보다 크게 증가했기를 기대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이러한 지표에서 성과를 보이면 이 회사가 일부 경쟁사보다 AI 지출을 수익화하는 경로를 더 잘 보여주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에 대한 선두적인 투자를 통해 오피스 프로그램용 AI 어시스턴트인 코파일럿을 제공하면서 생성 AI 제품 출시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이와 관련해 클라우드 시스템인 애져 수요도 촉진됐다.
투자자들은 또 자본 지출을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다. 지난 분기 마이크로소프트의 자본지출은 임대를 제외하고 거의 110억 달러였다. 경영진은 내년에 자본 지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AI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이 회사가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센터 용량을 앞지르고 있어 데이터 센터 지출을 늘려야 한다.
시너버스 트러스트의 수석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다니엘 모건은 마이크로소프트가 AI에 대한 지출과 투자 수익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찾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01.37514333.1.png)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