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은 '미니 지구촌'으로 불린다. 중국,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114개국에서 온 외국인이 9만7000여 명(2024년 6월 기준)이 안산에 거주하는데우리나라 최고치다. 특히 단원구에는 가장 많은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01.37506037.1.jpg)
지난 2009년 다문화마을특구로 지정된 단원구 원곡동은 이방인들이 빚어낸 독특한 하모니로 미니 지구촌, 안산의 이태원으로도 불린다. 거리 곳곳에는 안산이슬람센터, 안산세계문화체험관, 외국인주민지원본부 등 모두가 어울려 살아가는 데 상징적인 시설물이 자리해 한국 속 외국에 온 듯하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01.37506024.1.jpg)
안산역에서 큰길을 건너면 230여 개의 국내외 식당들이 밀집한 다문화음식거리와 이어진다. 베트남, 태국, 인도, 네팔… 끌리는 곳으로 세계 미식 여행을 떠난다. 네팔 음식을 맛보고 싶다면 칸티푸르!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01.37506035.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01.37506034.1.jpg)
숯불 향기가 밴 탄두리치킨에 화덕에 구운 난, 채소·양고기·치킨커리까지 환상의 궁합을 자랑한다. 식전에 라씨, 식후에는 차이 티로 입가심을 해도 좋다. 반월국가산업단지가 자리하는 안산은 수많은 외국인 근로자가 제2의 고향으로 정착한 보금자리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01.37506038.1.jpg)
다문화음식거리의 터줏대감인 고향식당은 베트남에서 이주한 이들이 고향 음식이 그리울 때 엄마 집처럼 찾는 곳이다. 베트남 로컬음식을 맛볼 수 있어 여행객들 사이에도 입소문이 자자하다. 토종 입맛인 기자 입에도 잘 맞았던 우즈베키스탄 음식이 궁금하다면 사마르칸트!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01.37506020.1.jpg)
한국인에게도 익숙한 볶음밥, 플로브(Plov)는 우즈베키스탄 대표 음식으로 향신료가 과하지 않아 담백하고 당근, 병아리콩과 소고기(또는 양고기)가 푸짐히 올라가 맛도 영양도 최고다. 또 하나의 별미는 채소소고기스프, 보르시(Borsh).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01.37506016.1.jpg)
큼직한 비트가 가득 들어간 붉은 스프는 사워크림 한 스푼을 가미해 담음새부터 시선을 사로잡는다. 함께 주문한 볶음밥을 스프에 적셔 먹으니 해장 후 먹는 국밥처럼 감칠맛이 난다. 식당에는 화덕에 구운 각종 빵도 판매한다. 스프나 카이막에 찍어 먹으면 이 또한 별미.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01.37506018.1.jpg)
정숙식물 갈대로 시화호의 수질을 개선하다. '안산갈대습지'
세계 미식 여행으로 별세계를 경험했으니 푸른 세상에서 여정을 음미할 차례다. 대자연의 생명력으로 제 존재감을 거침없이 드러내는 안산갈대습지는 시화호의 수질 개선을 목적으로 1997년 착공해 2005년 12월 완공된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습지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01.37506032.1.jpg)
그 규모가 103만7500㎡에 이르며, 탐방객들은 크게 바람소리길, 새소리길, 물소리길을 따라 거대한 갈대숲을 돌아볼 수 있다. 갈대는 대표적인 정수식물로서 물속에서 뿌리가 호흡하고 물을 직접 빨아들여 오염물질을 영양분으로 사용하고 맑은 물을 내보낸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01.37506031.1.jpg)
여름 소낙비를 가득 머금은 갈대숲은 지구 속 작은 지구 같다. 수달, 고라니, 삵, 금개구리는 사람의 발걸음을 피해 안산갈대습지 어느 보금자리에서 낮잠을 자고 있을까? 습지를 가로지르는 오리 가족의 뒷모습은 사랑스럽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01.37506028.1.jpg)
안산은 지하철 4호선, 수인분당선과도 연결되어 당일치기로 다녀올 수도 있지만 여정이나 좋은 숙박시설도 잘 갖춰져 있어 1박 이상 머물기에도 부담이 없다. 대부도에는 주요 관광지에 펜션 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안산 시내에는 수준급 특급호텔을 찾아볼 수 있다.
정상미 한경매거진 기자 vivid@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