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AA.37525202.4.jpg)
31일 국토교통부의 ‘6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4037가구로 집계됐다. 5월(7만2129가구)보다 2.6%(1908가구) 증가했다. 3월(6만4964가구) 후 3개월 새 1만 가구 가까이 늘어났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더 크게 증가했다. 6월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만4856가구로 한 달 전(1만3230가구)과 비교해 12.3%(1626가구) 늘었다. 지난해 8월 이후 11개월째 증가세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가격 할인 판매 등으로 건설사는 물론 거래 시장에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6월 서울의 미분양 주택은 959가구로 5월(974가구)에 비해 1.5% 감소했다. 경기는 9956가구로 5월(8876가구) 대비 1080가구 늘어났다. 지방은 강원이 4740가구로 한 달 새 30.3% 증가했다. 대전(30.0%)과 경남(11.1%)도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기존 아파트 거래도 다소 주춤하는 모습이다. 6월 전국 주택 거래량은 5만5760건으로 5월(5만7436건)보다 2.9% 감소했다. 서울은 같은 기간 8445건에서 9091건으로 7.6% 증가했다.
6월 기준 전국 인허가 실적은 2만3886가구로 전월(2만3492가구)보다 1.7% 증가했다. 그러나 지난해 6월(3만6912가구)과 비교하면 35.3% 적은 수준이다. 상반기 누적으로 살펴보면 14만9860가구로 전년 동기(20만2808가구)에 비해 26.1% 줄었다.
감소한 인허가와 달리 착공과 분양, 준공 실적은 증가세를 보였다. 착공은 전년 동월(1만6500가구) 대비 25.5% 증가한 2만712가구로 집계됐다. 분양 물량도 2만1655가구로 지난해(1만9777가구)보다 9.5% 늘어났다. 준공 물량은 같은 기간 3만5922가구로 전년 동월(4만8973가구) 대비 26.6% 감소했다. 상반기 누적 준공 실적은 21만9560가구로 지난해(20만6556가구) 대비 6.3% 증가했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회복 지표가 착시 효과라고 평가하고 있다. 지난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경색과 공사비 상승 등으로 인허가, 착공 실적이 크게 감소한 데 따른 기저효과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정부의 인허가 절차 단축으로 기존 주택사업의 속도가 빨라지긴 했지만 신규 주택사업 지표인 인허가 물량은 오히려 줄었다는 점도 업계가 우려하는 대목이다. 주택 공급 속도가 높은 오피스텔 등 비(非)아파트 인허가 실적은 상반기 1만8332가구로 지난해(2만8570가구)에 비해 35.8% 급감했다.
개발업계 관계자는 “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소폭 반등했지만 비아파트 인허가 물량이 크게 줄고 있다”며 “주택 공급 효과가 큰 비아파트 시장 침체로 주택 공급난이 가중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