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AA.37525514.1.jpg)
PMI 주요 지수 중 생산지수(50.1)만 가까스로 50을 넘겼다. 이마저 전월 대비로는 0.5포인트 떨어졌다. 신규주문지수는 49.3으로 같은 기간 0.2포인트 하락했고, 납품지수도 49.3으로 0.2포인트 내렸다.
전문가들은 중국 내 악천후 등을 감안할 때 중국 제조업 경기 침체가 예상보다 길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날 중국 국가통계국 관계자는 “계절적인 요인과 시장 수요 부족, 고온 현상과 홍수 등 자연재해가 맞물려 기업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올 1분기까지만 해도 순항하던 중국 경제는 2분기 들어 다시 꺾였다. 2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은 시장 추정치(5.1%)를 크게 밑도는 4.7%에 그쳤다. 7월 PMI는 처음으로 발표된 하반기 주요 경제 지표로 이 수치가 경기 위축을 나타내고 있어 암울한 하반기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소비 부진과 부동산시장 침체는 여전히 중국 정부의 걱정거리”라며 “성장률 전망치가 낮아지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올 하반기 중국 정부 차원의 경기 부양 정책 발표가 잇따를 것으로 보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지금까지 탄탄한 수출이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뒷받침했지만 많은 무역 상대국이 수입 관세를 높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수출 성장세에 대한 의구심도 커지고 있다”며 “부동산 위기와 고용시장 불안까지 맞물려 중국 정부가 더 많은 부양책을 펼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