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06.37613951.1.jpg)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려면 인트라 바운드(내국인 관광) 시장 활성화가 중요합니다."
배보찬 야놀자 플랫폼 부문 대표는 7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대한민국 관광대국의 길' 도서 출판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외국인들이 해외여행 할 때 가장 가고 싶어 하는 장소가 현지인들이 찾는 관광지다. 로컬이 좋아하는 장소는 외국인도 방문하고 싶어하고 그 장소가 외국인들도 매력적으로 느낀다"며 이 같이 말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06.37613940.1.jpg)
이날 간담회에서는 인바운드(외국인 관광객 국내 여행) 관광객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제시됐다. 여행산업 연구기관 야놀자 리서치는 한국 관광 상품과 서비스 차별화를 위해 K-컬처의 영향력을 재조명하고 외국인 관광객의 콘텐츠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을 강조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최휘영 인터파크트리플 대표는 "서울 한 곳에만 집중되고 있는 인바운드 관광 수요를 다른 지역으로 얼마나 확장시킬 수 있느냐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한국을 찾은 관광객들이 전국 곳곳에서 매력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원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야놀자 리서치는 한국 재방문율을 높이는 핵심 전략으로 한국 고유의 문화 자산을 활용한 숙박 문화 브랜딩과 지역별 스토리 개발, 쇼핑-미식 등 관광객의 반복적 소비 활동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짚었다. 특히 성수동처럼 내국인에게 인기 있는 장소가 외국인에게도 수요가 많다는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인트라바운드(내국인 관광)를 겨냥한 관광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01.37613944.1.jpg)
디지털 혁신도 힘줘 말했다. 외국인 관광객이 한국 여행 중 본인인증과 해외 카드 결제 제한 등 불편을 겪는다는 이유에서다. 야놀자 리서치는 "숙박, 커머스, 배달, 택시 호출 등 각 분야 로컬 플랫폼들과의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 연동을 통해 하나의 게이트웨이 앱을 구축한다면 외국인들이 여행 중 겪는 병목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여기에 생성형 인공지능(AI)과 대규모 언어 모델(LLM) 등 차세대 기술을 더하면 언어나 환경 제약 없이 누구나 편리한 한국 여행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관광 산업 범위와 관광 국내총생산(GDP) 산정 기준을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식음료업, 여객 사업 및 관광 관련 솔루션·기술 산업도 관광업을 이루는 요소로 인정하고 B2B 관광 솔루션을 통해 해외에서 벌어들이는 수입을 추가로 고려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지속 가능한 산업 육성 및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목표 관리를 위해 관광 산업에도 마케팅에서 활용하는 ‘AARRR(유입-방문-수익-유지-추천)’ 측정 프레임워크를 접목하자는 제안이 이어졌다.
이수진 야놀자 총괄대표는 "야놀자가 보유한 기술 경쟁력과 콘텐츠·인벤토리를 모두 활용해 국가 경쟁력을 다변화하고 대한민국 관광대국을 육성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성식 야놀자리서치 대표는 "여행 및 관광 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허브로서 민·관·학 영역을 뛰어넘는 협력을 끌어내고 인바운드 관광을 증진하는 데 앞장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야놀자 리서치는 야놀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K-트래블, 한국 경제 발전, 여행 산업의 고도화에 기여한다는 취지로 지난해 출범했으며 여행의 전 과정을 연구한다. 미국 퍼듀대와 경희대의 리서치 역량 및 네트워크 결합으로 여행산업의 다양한 연구 결과를 국내외 연구원, 글로벌 여행기업, 국제기구, 정부, 학계 등에 공유하고 있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