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AA.37672911.1.jpg)
이번 발사는 중국 정부가 ‘천개의 돛’으로 명명한 지구 저궤도 위성 기반 인터넷망 구축 프로젝트를 위해 이뤄졌다. 중국은 이른바 ‘중국판 스타링크’를 통해 2030년까지 저궤도 위성 1만5000개를 쏘아 올려 글로벌 네트워크 서비스 체계를 갖춘다는 방침이다. 스페이스X, 원웹, 아마존, 텔레샛 등 글로벌 대기업이 이미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장을 선점한 가운데 중국도 도전장을 던진 셈이다.
지구 궤도는 위성과 우주 쓰레기로 점점 혼잡해지고 있다. 유럽우주국(ESA)에 따르면 지구를 맴돌며 운영 중인 우주선은 약 1만 대다. 이 중 대부분은 스타링크 위성이다. 또 너비가 최소 10㎝인 파편은 약 4만500개, 직경이 1㎜인 파편은 1억3000만 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는 우주 쓰레기 수거 시장이 생겨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업 포천비즈니스인사이트는 이 시장이 2028년 13억6267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강경주 기자 qurasoh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