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는 나라의 명운이 걸린 국가 대항전이다. 미국은 2022년 ‘반도체 지원법’ 제정 후 5년간 총 527억달러(약 70조원)를 쏟아붓고 있다. ‘반도체 부활’을 꿈꾸는 일본도 자국에 공장을 짓는 대만 TSMC에 10조원에 이르는 보조금을 지원하는 데 이어 자국 기업인 라피더스에 대규모 대출 보증까지 추진하고 있다. 이에 비하면 우리 지원은 초라할 정도다. 반도체 기업에 직접 대규모 보조금을 지급하는 경쟁국들과 달리 세액공제를 통한 간접 지원에 머물러 있다. 그나마 설비투자 시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는 K칩스법(조세특례제한법)은 올해 말 일몰을 앞두고 있다. 이러니 시스템반도체(2.3%)와 파운드리(13.9%) 분야 세계 시장 점유율이 쪼그라들고, 메모리 강국의 위상마저 흔들리는 것이다.
과감하고 혁신적인 반도체 특별법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그동안 반도체산업 지원을 ‘대기업 특혜’라며 발목 잡던 거대 야당도 진일보한 지원 법안을 내놓으면서 여야 간 합의 기대가 그 어느 때보다 높다. 반도체는 민생이고, 그 전쟁의 승패는 ‘속도와 시간’에 달렸다. 이를 좌우할 특별법이 극단의 정쟁 국면에 뒷전으로 밀릴까 봐 걱정이다. 22대 국회가 개원한 지 70일이 넘었지만, 여야가 합의 처리한 민생 법안은 ‘0건’이다. 반도체 특별법을 공동 ‘1호 민생 법안’으로 처리한다면 이번 국회의 내로라할 성과가 될 것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