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2월에 결산하는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의 상반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합산치는 102조원, 개별 기준 영업이익은 59조원을 각각 기록했다. 개별 기준 영업이익 합산치는 역대 최대치다. 작년과 비교하면 연결 기준으로는 91.43%, 개별 기준으로는 297.29% 늘었다.
매출은 연결 기준으로 1년 전보다 4.55% 늘어난 1410조2882억원을, 개별기준으로 6.55% 증가한 735조2036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매출 증가 폭은 한 자릿수인데 비해, 영업이익이 2~3배로 늘어난 점이 눈길을 끈다.
순이익은 연결 기준으로 78조7372억원, 개별 기준으로 67조5596억원이었다.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은 전년 3.81%에서 6.98%로, 순이익률은 2.69%에서 5.34%로 각각 확대됐다. 별도 기준으로는 1년 사이 반년 영업이익률이 2.03%에서 7.56%로, 순이익률은 6.22%에서 8.62%로 커졌다.
반도체 시황 회복에 따른 삼성전자의 실적 개선이 가장 큰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삼성전자를 제외해도 상반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26%, 영업이익은 63.72%, 순이익은 79.08% 늘었다.
올해 6월 말 기준 연결 기준 부채비율은 113.11%로 나타났다. 작년 말 대비 0.26%포인트 개선됐다.
2분기 실적으로만 따져도 실적 개선세가 나타났다.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합산치는 724조7702억원, 영업이익은 46조8290억원을 기록했다. 직전 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3.44%와 19.93%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15.89% 늘어난 36조4812억원을 남겼다.
유가증권시장의 17개 업종 중 상반기 영업이익이 1년 전 대비 감소한 업종은 기계(-22.14%), 철강금속(-33.29%), 통신업(-2.48%), 화학(-6.59%) 등 4개다.
전기전자, 의료정밀, 전기가스업은 흑자로 전환했다. 의약품과 서비스업은 각각 36.64%와 32.61% 개선됐다.
영업이익이 늘어난 업종은 13개이지만, 순이익 증가 업종은 11개에 그쳤다. 비금속광물, 섬유의폭, 유통업은 영업이익은 늘었지만, 순이익은 줄었다. 통신업은 영업이익 감소에도 순이익은 1.72% 증가했다.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법인들은 상반기 수익성이 소폭 뒷걸음질쳤다. 연결 기준으로는 영업이익이 1.44%, 별도 기준으로는 2.4% 감소했다. 매출은 각각 3.92%, 0.72% 늘었다.
다만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편입기업들의 수익성은 개선됐다. 상반기 연결 매출은 3.79% 줄었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각각 10.37%와 18.11% 증가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