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지난 20일 ‘반도체 업황의 피크(고점)를 준비하라(preparing for a peak)’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AA.37771893.1.jpg)
미국 기업의 클라우드 투자비 증가율도 올 3분기(59%)가 고점일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부터는 투자비 증가율이 8% 수준으로 내려온다고 전망했다. 모건스탠리는 “AI산업 투자 랠리는 영원하지 않다”며 “결국 반도체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는 순간이 올 것”이라고 했다. 이어 “내년까지 반도체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업황은 좋을 테지만 주가는 결국 실적 증가율을 따라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모건스탠리는 2021년 ‘반도체 시장에 겨울이 온다(Memory, winter is coming)’는 보고서를 통해 반도체 업황 다운사이클(장기 하락 추세)을 예측한 바 있다. 보고서 발간 직후 SK하이닉스 주가가 20% 가까이 하락했다.
대부분 국내 증권사는 “AI 고점론은 시기상조”라고 주장하고 있다. KB증권은 내년 D램 반도체 시장이 전년 대비 50%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소 내년 3분기까지 반도체 업황이 호조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반도체 주가가 통상 업황 고점 약 6개월 전부터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내년 초까지 주가가 견조할 것이라는 얘기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