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음식료품’ 지수는 증시 급락세가 진정된 지난 6일부터 이날까지 1.34% 오르는 데 그쳤다. 이 기간 코스피 업종 지수 가운데 상승률이 가장 저조했다. 코스피지수는 같은 기간 10.9% 상승했다.
화장품주 역시 회복이 더디다. 국내 주요 화장품주를 모은 상장지수펀드(ETF)인 ‘TIGER 화장품’은 6일부터 이날까지 5.35%, ‘HANARO K-뷰티’는 5.69% 올랐다.
올 상반기 식품·화장품주는 북미 등의 수출이 급증하면서 주가가 뛰었다.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 수출이 급증하면서 올 상반기에만 185.2% 상승했다.
그러나 미국을 중심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며 식품주, 화장품주 주가가 좀처럼 힘을 받지 못하고 있다. 농심은 올 2분기 국내 법인 영업이익이 165억원에 그쳐 전년 동기 대비 38.9% 감소했다. 아모레퍼시픽도 2분기 국내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9% 줄어든 152억원에 머물렀다.
김명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경기 불확실성이 커진 상태에서 분위기를 반전시킬 만한 이벤트도 없어 화장품주 주가 회복이 더욱 더뎌지고 있다”고 말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