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는 SK LG GS 아모레G 등 국내 지주사를 기타금융업으로 분류하고 있다. SK의 주 사업 부문은 반도체 에너지 통신 등이다. LG는 전자 화학 통신 등이 주 사업 부문이다. 이는 한국거래소가 자체적인 기준으로 업종을 분류하는 대신 통계청의 산업 분류 기준에 따라 상장사의 업종을 구분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그룹의 지주사 역할을 하고 있는 삼성물산은 유통업으로 분류돼 있다. 삼성물산의 주 사업 부문은 건설이다.
사실상 같은 업종 내에서 경쟁하고 있는 기업 가운데 각기 다른 업종으로 분류된 사례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 빅3’ 중 하나인 삼성중공업과 한화오션은 운수장비업에 속하지만 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은 기타금융업에 속하는 촌극이 빚어지고 있다.
시장의 관심이 커진 방산업도 마찬가지다. LIG넥스원은 기계업으로 분류돼 있지만 방산 대장주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운수장비업에 속해 있다.
이 같은 업종 분류를 기준으로 거래소가 산출하는 업종 지수의 왜곡도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투자자들이 업종 지수를 참고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거래소의 유통업지수는 올 들어 0.69% 상승했는데 유통업 대표 종목인 이마트는 같은 기간 17.37%, 롯데쇼핑은 17.39% 급락했다. 유통업지수 구성 종목 중 시가총액이 가장 큰 삼성물산이 올 들어 15.78% 상승하면서 벌어진 일이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