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한국로봇산업협회에 따르면 2022년 국내 로봇 제품 생산 규모는 5조5265억원으로 2020년(5조280억원)보다 9.9% 증가했다. 이 중 절반인 2조7319억원은 산업 현장에서 쓰는 제조용 로봇이다. 물건을 쌓고 내리는 팰리타이징 및 디팰리타이징 로봇이 대표 제품이다. 5분 만에 30㎏ 박스 100개를 쌓는 만큼 사람보다 생산성이 높을 뿐 아니라 부상 위험도 없다. 업계 관계자는 “적재 작업은 근무자가 가장 기피하는 공정”이라며 “사람이 팰리타이징하면 주문이 몰려도 공장 가동률을 높이기 어려웠지만, 로봇을 도입하면 이런 문제를 단번에 해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 화낙, 덴마크 유니버설로봇, 한국 두산로보틱스 등이 제조한다.
무인운반로봇(AGV)은 팰리타이징한 물건을 필요한 공정에 옮겨주는 일을 맡는다. 이영호 현대무벡스 연구개발(R&D)센터장은 “정확도와 효율 측면에서 사람은 AGV의 생산성을 따라갈 수 없다”고 말했다. 로봇은 건설 현장에도 쓰인다. 숙련공의 업무 패턴을 익힌 시공 로봇이 위험한 작업을 대신한다. 업계 관계자는 “중대재해처벌법을 피하려는 것도 로봇을 늘리는 주요 이유”라고 말했다.
로봇은 산업 현장에서 일상으로 옮겨 갈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드마켓에 따르면 세계 로봇 시장은 지난해 573억달러(약 76조원·추정치)에서 2030년 1565억달러(약 208조원)로 세 배 가까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2030년 로봇 시장은 지금과는 확연하게 달라진다. 농업·의료·물류 등 특정 업종에 쓰이는 전문 서비스용 로봇이 전체의 49%(776억달러)를 차지하고, 가사·돌봄·간병 등 개인 서비스 로봇(27%·436억달러)이 뒤를 잇는다. 산업용 로봇은 16%(253억달러), 협동로봇은 6%(98억달러)에 그친다.
‘서비스 로봇 시장을 잡는 기업이 로봇 시장의 패권을 쥘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서비스 로봇이 제 몫을 하려면 판단 능력과 다양한 업무 수행 능력을 갖춰야 한다는 점에서 똑똑한 인공지능(AI)을 적용한 휴머노이드가 미래 로봇 시장의 대세로 떠오를 것이란 분석이 많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