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AA.37796839.1.jpg)
대출금리 인상에도 주담대 증가세는 꺾이지 않고 있다.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 22일 주담대 잔액은 565조8957억원으로 7월 말보다 6조1456억원 불어났다. 이 추세라면 이달 증가 폭은 7월(7조5975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 원장은 은행이 금리 인상 대신 비가격 정책을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이자만 먼저 갚는 주담대 거치 기간 폐지와 갭투자(전세를 낀 주택 매입)에 활용되는 전세대출 중단 등이 대표적이다. 그는 “은행이 다주택자 대출과 갭투자 등 투기 목적 수요에 자금이 흘러가는 것을 통제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동산 관련 추가 대출 규제 가능성도 언급했다. 이 원장은 “(수도권 집값 상승이) 더 이상 용인돼선 안 된다”며 “수도권 투기 목적 지역의 부동산 대출이 늘어나면 강력한 대책을 시행하겠다”고 했다. 금융당국은 전세대출과 디딤돌대출 등 정책자금 주담대에도 DSR 규제를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 40%를 넘지 못하는 DSR 한도를 35%로 낮추거나, LTV 규제를 강화하는 게 대표적이다.
아울러 이 원장은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 합병안과 관련해 “현실적으로 시가가 기업의 공정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고 했다. 양사 간 합병 비율이 적절하지 않다는 주장을 위해 ‘시가 무용론’까지 꺼내 든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두산은) 법에 따라 시가(총액)를 기준으로 합병 비율을 산정했으니 괜찮다고 하지만, 시가 합병이 모든 것의 면죄부가 될 수는 없다”며 “법에 따르면 (시가 기준 기업가치에 대해) 할증·할인도 할 수 있으니 경영진이 주주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현행법상 기업이 합병 시 몸값을 산정할 때 쓸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선택지가 시가 기준 가액 산정”이라며 “상장 기업 주가를 신뢰할 수 없다는 금감원장 발언은 국내 증시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뒤흔드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한종/선한결 기자 onebel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