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지던스는 2010년대 들어 장기 체류 관광객의 숙박시설로 국내에 본격 도입됐다. 하지만 초기부터 정부의 명확한 가이드라인 부재 속에 숙박과 주거의 경계가 모호한 부동산 상품이었다. 지난 정부 때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자 ‘아파트 대체재’로 분양 물량이 쏟아지고 투자 수요도 몰렸다. 세금과 대출 규제 문턱이 낮고 주차장, 학교시설 확보 부담도 적어 인기를 끌었다.
사실상 대다수 레지던스가 주거용으로 사용되고 주거용 상품으로 분양 광고를 해도 별다른 제재를 하지 않던 정부가 ‘주거는 불법’이란 칼을 빼든 게 2021년이다. 지난해 10월까지 일부 기준을 완화해 주거용 오피스텔로 한시적 용도 변경을 허용했지만 변경은 1% 수준에 그쳤다. 지구단위계획상 용도 변경이 어렵거나 복도 폭, 주차장 규모 미달 등의 이유로 지방자치단체가 불허했기 때문이다.
정부도 사태가 여기까지 오는 데 방치한 책임이 있는 만큼 더 큰 혼란이 오기 전에 퇴로를 열어줘야 한다. 업계 희망대로 기존 레지던스를 준주택으로 일괄 전환하는 방법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주택 공급 부족으로 아우성인 상황에서 하나의 대안이 될 수도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 머리를 맞대야 한다. 이행강제금 부과 연기 등 한시적 조치에 그칠 게 아니라 이 기회에 제대로 된 해법을 내놓길 바란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