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9/AA.37890336.1.jpg)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상승률도 2.1%로, 전월(2.2%) 대비 하락했다.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을 중심으로 구성된 체감물가인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밥상 물가’와 직결되는 신선식품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3.2% 오르며 전월(7.7%)보다 상승폭이 많이 축소됐다.
주무 부처인 기획재정부는 기상이변이나 국제 유가 불안 등 추가 충격이 없다면 물가상승률이 2%대 초반으로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OECD 주요국과 비교하면 한국이 정점이 가장 낮았고 2% 도달 시기가 상대적으로 빨랐다”고 밝혔다. 정부의 올해 물가상승률 연간 목표치(2.6%)도 하향 조정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시장에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관리 목표치인 2.0%까지 하락하면서 한은이 다음달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한은은 지난달 22일 열린 금통위에서 13회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그러자 대통령실과 여당은 이례적으로 “내수 진작 측면에서 보면 아쉬움이 있다”고 일제히 논평을 냈다. 정부는 내수가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경기를 부양할 유일한 카드는 금리 인하라고 보고 있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당초 지난 5월 한은이 금리를 점진적으로 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고, 8월에도 충분히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고 했는데 시점이 또 지나갔다”고 했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도 “과도한 내수 침체를 유발하기 전에 기준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경민/강진규 기자 kkm1026@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