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 가입자 수, 기대여명 등에 따라 연금 수급액을 자동으로 줄이는 ‘자동조정장치’는 연금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꼭 필요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24개국에서 이미 시행하는 제도다.
소득대체율을 40%에서 42%로 올리는 건 아쉬운 대목이다. 제대로 된 개혁이라면 40% 유지가 맞다. 다만 국회 공론화 과정에서 보험료율과 함께 소득대체율도 올리는 ‘더 내고 더 받는 안’이 우세했고 여소야대 국회에서 거대 야당이 이런 방안을 고집하는 상황에서 정부로선 다른 선택지를 찾기 어려운 측면이 있는 게 사실이다. 그나마 민주당이 요구한 44~45%보다는 개혁적이다.
기초연금을 2027년까지 월 40만원(1인 기준)으로 인상하겠다고 한 건 실망스럽다. 65세 이상 노인 70%에게 월 33만원을 주는 지금 제도도 재정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않다. 부부가 함께 받으면 감액(20%)을 감안해도 월 수령액이 64만원에 달해 ‘국민연금 성실 납부자를 바보로 만든다’는 지적도 나온다. 저소득층을 두텁게 지원하는 방식으로 제도를 바꾸는 게 맞다.
정부가 국회에 책임을 미루지 않고 이제라도 연금개혁안을 낸 건 평가할 만하다. 21대 국회 막판에 논의된 연금개혁안은 연금 고갈 시기를 최장 9년 늦추는 데 그치지만 정부안은 32년 늦춘다. 최소 70년 뒤에도 끄떡없게 연금개혁을 하는 게 최선이지만 현실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에서 그나마 차선책이라고 볼 수 있다. 국회도 전향적으로 논의하길 바란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