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9/AA.37923855.1.jpg)
많은 일화가 나온다. 그중 하나는 2007년 스티브 잡스 애플 창업자가 전화를 걸어온 일이다. 잡스는 애플대학교를 설립하고 싶다며 의견을 구했다. 대화를 나누던 중 콜린스는 평소 궁금해하던 것을 물었다. 1997년 파산 직전인 애플에 복귀했을 때, 뭐가 가장 중요했느냐는 것이었다. 잡스의 대답은 혁신적인 제품도 아이디어도 아니었다. ‘사람’이었다.
열정을 가진 훌륭한 인재만 있으면 어떤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다는 것이었다. “잡스는 그들이야말로 여기저기 뿔뿔이 흩어져 있는 (영화 ‘스타워즈’에 등장하는) 제다이 기사들과 같은 사람들, 즉 악의 제국 감시망을 피해서 몸을 숨기고 있지만 적절한 때가 되면 언제든 다시 일어날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들이라고 여겼다.”
사람이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안다. 다만 인재를 모으고, 잘 활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핵심 보직에 앉혔지만 성과가 나오지 않을 때 이 사람의 잠재력을 믿고 기다려야 할까. 아니면 얼른 다른 사람으로 교체해야 할까. 책은 그런 현실적인 문제를 다룬다.
밑줄 그을 내용이 많다. 위대한 리더의 조건 중 하나로 ‘단호함’을 꼽으며 이렇게 말한다. “조지 마셜은 리더가 가져야 할 가장 큰 덕목은 의사결정 능력이라고 말했다. 얼마나 많은 경영자가 우유부단함 때문에 고통을 받는지 알고 나면 마셜의 말이 옳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위대한 리더는 우유부단함으로 고통받지 않는다. 완벽한 정보가 없는 상황에서도 (완벽한 정보는 애초부터 존재하지도 않는다) 결정을 내리는 능력이 리더가 꼭 가져야 하는 조건이다.”
이런 말도 했다. “사명을 만들 때 중요한 기준이 하나 있다. 강렬한 설득력과 진정한 열정을 담아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사명을 설정하지 마라. ‘전 세계적으로 잘 팔리는 운동화를 만들어서 판매한다.’ 대신 이렇게 하라. ‘나이키를 깨부순다.’”
이 책을 읽는다고 모두 위대한 리더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최소한 나쁜 리더라는 말은 듣지 않을 것이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