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씨처럼 주택연금을 이탈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그간 받았던 연금을 몽땅 반환하더라도 가격이 급등한 내 집을 쥐고 있겠다는 분위기가 확산하면서다. 하지만 ‘섣부른 해지’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상당하다. 각종 해지 비용과 재가입 금지 기간을 감안할 때 자칫 실익보다 손해가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9/AA.37955704.1.jpg)
주택연금이란 노후생활을 위해 자신이 소유하고 거주 중인 주택을 담보로 평생 매달 일정 금액을 받는 금융상품이다. 특히 집 한 채가 전 재산인 고령층엔 ‘노후 방파제’로 불린다.
최근 주택연금 가입·해지 추이는 부동산 가격 추가 상승 가능성에 무게가 실려 있다. 2021년 당시엔 역대급 해지와 함께 신규 가입자가 1만 가구를 넘어섰다. 가입 시점 집값에 따라 연금액이 설정되는 점을 감안할 때 가입 당시를 고점으로 여긴 이들이 상당했다는 얘기다.
반면 올 7월에는 가입이 줄고 해지 건수만 늘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상승 가능성을 더욱 높게 보는 분위기가 주택연금 추이에 반영된 것”이라며 “부동산 시장 상황에 따라 주택연금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평가했다.
연금 가입 후 불어난 집값은 연금 수령자가 사망할 경우 자식에게 상속된다는 것도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주택연금은 부부 모두가 사망한 뒤 정산한다. 사망 시 주택가격과 그동안 받은 연금액을 비교해 차액을 자녀 등에게 상속한다.
집값이 내려갈 때를 감안하면 불리한 구조가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 주택금융공사 관계자는 “주택연금액 산출의 주요 변수는 이자율, 주택가격 상승률, 사망률 등으로 지급하는 연금에 이미 일정 수준의 집값 상승률이 반영돼 있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 주택연금
고령층의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위해 자신이 소유하고 거주 중인 주택을 담보로 내 집에 살면서 평생 일정 금액을 매달 연금 방식으로 받는 금융상품.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