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409/AA.37966848.1.jpg)
이날 소개된 미래도시펀드는 신도시 재정비 초기 사업비부터 지원한다. 수도권 1기 신도시가 동시다발로 재건축에 나서면 기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으론 여력이 부족하다는 판단에서다. 이상정 HUG 차장은 “지난해 6월 기준 133조원인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잔액을 감안하면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착수에도 여력이 부족할 것”이라며 “시공사의 대여금 의존도를 낮추고 분양 리스크는 분담해 총사업비 인하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도시펀드에 투입하는 공공기여금 자산유동화 방식도 공개됐다. 대규모 재정비 과정에 필요한 기반시설 설치 비용 등을 조달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받을 공공기여금을 조기에 유동화해 사업에 투입하는 방식이다.
미분양 기업구조조정(CR) 리츠와 도시재생 리츠 등을 접목한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 간접투자 방식도 함께 소개됐다.
이상주 국토부 국토도시실장은 “노후계획도시의 성공적인 정비를 위해서는 대규모 자금이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조달돼야 한다는 점에서 기존 정비사업과 다른 새로운 금융기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