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현지시간) 미국경제연구소(NBER)에 따르면 생성 AI는 미국에서 챗GPT가 출시된 지 2년 만에 39.5%의 도입률을 기록했다. 과거 인터넷이 같은 기간 도입률 20%를 기록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두 배 가까이 빠른 속도다. PC는 IBM PC가 출시된 1981년부터 3년에 걸쳐 20%의 도입률을 기록했다.
조사 결과 지난달 기준 18~64세 미국인 중 생성 AI를 매일 사용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약 11%였다. 업무용으로 쓴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체의 28.0%로, 직종을 가리지 않았다. 컴퓨터·수학·경영 등 고학력·고소득 직군에서의 도입률이 4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컴퓨터·수학 49.6%, 경영 49.0%, 비즈니스·금융 41.6%였다. 블루칼라(생산직) 및 고졸 이하 근로자도 5명 중 1명꼴로 생성 AI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에서 하루에 1~15분 쓰는 비율은 23.4%, 15~59분은 51.5%, 1시간 이상은 25.1%였다.
생성 AI가 궁극적으로 노동 생산성을 끌어올릴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근로자들은 전체 업무시간의 0.5~3.5%를 생성 AI의 도움을 받으며 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NBER은 “최근 생성 AI와 업무 효율성의 상관관계에 관한 여러 연구의 평균값을 적용했을 때 생성 AI는 노동 생산성을 0.125~0.875%포인트 높인다”며 “연구 결과는 미래 업무에 대한 많은 시사점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
관련뉴스